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암환자 생활백서

자녀에게 알리는 방법

가족의 일원, 특히 부모 중 한 사람이 암 진단을 받았을 때 어린 자녀들은 맨 나중에야 소식을 듣는 수가 많습니다. 그럴 경우 아이들은 부모의 기분 상태가 왜 크게 달라졌는지, 엄마나 아빠가 왜 침대에 누워 많은 시간을 보내는지, 자신은 어째서 예전만큼 그들과 함께하지 못하는지 등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훨씬 민감하며, 어떤 면에서는 생각도 더 많습니다. 그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엄마나 아빠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를 알려주고, 나름의 느낌과 의문들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어떻게 알려줄까요?

  • 부모나 가까운 친척이 아이를 한 명씩 따로 불러서 이야기합니다.
  • 부드러운 어조로 말하고, 아이를 껴안는 등 따뜻하게 대합니다.
  • 암에 대한 설명은 자녀의 나이에 걸맞은 수준으로, 지나친 두려움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해야 합니다. 그러나 ‘암’이라는 단어의 사용을 피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문제의 암이 몸의 어느 부위에 생겼는지, 위치를 가리키면서 설명합니다. 병의 성격에 대해 비록 완곡하게라도 분명히 말해 주지 않을 경우, 아이들은 나름대로 병을 해석하여 실제보다 더 두렵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할 말들을 사전에 연습해 둡니다.
  • 치료 계획을 알려주고, 그에 따르는 가족 생활의 변화와 환자에게 생길 수 있는 변모(예컨대 탈모, 극심한 피로감, 체중 저하 등)도 미리 말해 두어 나중에 놀라지 않도록 합니다.
  • 얘기를 다 들은 아이가 ‘암’이나 ‘죽음’ 같은 말을 입에 올리며 느낌을 표현하거나 질문을 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대해 완곡하지만 거짓 없이 답하면서 안심시키십시오.
  • 자녀의 질문에 대해 가능한 한 신중하고 정확하게 답해야 합니다. 혹 뭐라고 해야 할지를 모를 때는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말하십시오. “나도 잘 모른단다. 우리 함께 답을 찾아볼까?”
  • 아이가 나이와 성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격려합니다(예를 들어 소리 지르기, 글 쓰기, 그림 그리기 등).
  • 아이가 공포를 느끼면서도 그걸 표현 못 하는 것은 아닌지, 위축되어 있지는 않은지 등을 잘 살핍니다.
  • 환자를 지지하는 그룹에 아이들도 참가시켜야 합니다. 지지 그룹은 대개 환자의 배우자와 친척, 친구, 성직자, 그리고 다른 가까운 사람들로 구성되며, 환자는 도움이 필요할 때 그들에게 의지할 수 있습니다(이런 지지 그룹이나 시스템에 대해 병원의 의사나 간호사에게 문의하십시오).
  • 환자를 돌보는 일에 아이도 끼워 주십시오. 물이나 담요를 가져오게 하는 등 나이에 맞는 간호 행위를 시키십시오.
  • 아이에게 사랑과 애정을 많이 보이십시오. 비록 병이 찾아왔어도 그들에 대한 부모의 사랑에는 변함이 없음을 알게 하십시오.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에서 예시한 몇 가지 표현

  • 부모는 자신의 병에 대해 자녀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는(엄마는/아빠는) 요즘 많이 아프단다. 암이라는 병에 걸렸거든. 의사 선생님이 나를 낫게 해주려고 온갖 방법을 다 쓰고 있어. 그래서 내가 원하는 만큼 너와 많은 시간을 보낼 수가 없구나. 우리 모두가 조금 힘들겠지만, 나는(엄마는/아빠는) 여전히 너를 아주 많이 사랑한단다. ”

  • 친척이 대신 알려줄 때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너희 아빠(혹은 엄마)는 지금 아프셔. 의사 선생님은 아빠가 틀림없이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검사와 치료가 힘들어서 가끔은 아빠가 많이 슬퍼지거나 화를 낼 수 있단다. 그러는 건 네 잘못 때문이 아니고, 아빠는 너한테 화가 나 있는 게 아니야. 그럴 때 아빠에게 필요한 것은 너의 인내와 이해심이란다.”

좋지 않은 생각, 피해야 할 말

  • 아이에게 걱정이나 수고를 일절 시키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 아이에게 지금부터 집안의 어른 노릇을 해야 한다는 식으로 말하거나, 형제가 아플 경우 아픈 아이의 역할을 대신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 역시 좋지 않습니다.
  • 부모가 자신의 슬픔이나 괴로움을 아이 앞에서 굳이 숨기려 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 질병을 죄악이나 벌과 연결시키지 마십시오.

  • 아이가 학교에서 좋지 않게 행동하기 시작할 때
  • 일주일 이상 정서적으로 통제가 불가능할 때(예를 들어 소리 지르는 것, 우는 것, 밤에 깨어 있는 것 등)
  • 부모나 다른 보호자가 느끼기에 아이가 상황에 잘 대처하지 못할 때
  • 부모나 가족들이 아이에게 충분한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할 때
  • 그 밖에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

최종수정일 : 2015년 01월 05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