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임신융모질환

일상생활

피임

호르몬 검사(β-hCG) 혈중농도를 추적관찰 중인 기간에는 적극적으로 피임합니다. 난관결찰술, 경구피임약, 콘돔 등의 피임법이 권장됩니다. 자궁 내 장치(루프)는 자궁천공의 가능성이 높아서 β-hCG 혈중농도가 정상화된 후 의료진과 상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임신

대개 포상기태 치료 후, 호르몬 검사(hCG)가 3주 연속 검사가 음성으로 나오면, 다시 매달 검사 하여 3개월 연속 음성으로 나오면 임신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임신을 원하는 경우 대부분 완전 관해 후 1~2년 후에 임신하는 것을 권장하고 포상기태 치료 후 다음 임신 시 임신융모질환의 발생률은 약 1 % 정도입니다.

그러므로 임신 후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 및 태반 등 수태산물에 대한 병리적 검사를 시행 받아야 하며, 분만 6주 후 β-hCG 혈중농도를 검사받아야 합니다.

임신성 융모상피종항암화학요법 치료와 다음 임신과의 관련성을 찾기 위해 유산, 선천성 기형 및 그 외 합병증에 대한 조사를 한 바 있지만 특별한 관련성은 없는 것이 보편적인 의견입니다.

또한, 한 연구에서 치료 후에 출산된 아이들에서 조사한 세포 유전학적 검사에 의하면 염색체 이상은 없었다고 합니다.

암의 치료를 앞둔 환자에게 필요한 사전 준비방법에서부터 신체와 마음을 다지고 관리하는 방법, 암질환 자체와 치료과정으로 빈번히 발생하는 여러 증상들에 대한 생활 속 대처방법,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바른 접근방법까지 암환자로 살아가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암환자 생활관리 바로가기
 

암환자 증상관리 바로가기

최종수정일 : 2016년 01월 08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