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중앙암등록본부 및 지역암등록본부를 지정‧운영하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모든 암등록사업 자료를 통합한 국가 암발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 중 1999년 이후 악성암(이하 암) 등록자에 대한 발생통계를 산출하였습니다.
2020년 암의 발생자수는 총 247,952명이며, 남자는 130,618명, 여자는 117,334명으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 암의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96.2명(남자 523.9명, 여자 468.5명)이었으며, 연령표준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95.8명(남자 308.1명, 여자 297.4명)이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기대수명(83.5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9%였으며, 남자(80.5세)는 5명 중 2명(39.0%), 여자(86.5세)는 3명 중 1명(33.9%)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 미국 - 남자: 5명중 2명(40.2%), 여자: 8명중 3명(38.5%)
(자료원: Cancer Statistics, 2022,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2022)
(단위: 명, 명/10만명)
구분 | 성 | 1999년 | 2010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발생 자수 | 남녀전체 | 101,849 | 208,659 | 221,206 | 218,525 | 233,094 | 236,725 | 246,692 | 257,170 | 247,952 |
남자 | 57,888 | 106,302 | 115,063 | 115,252 | 122,115 | 124,584 | 130,265 | 135,484 | 130,618 | |
여자 | 43,961 | 102,357 | 106,143 | 103,273 | 110,979 | 112,141 | 116,427 | 121,686 | 117,334 | |
조 발생률 | 남녀전체 | 215.9 | 418.3 | 435.8 | 428.9 | 456.0 | 462.1 | 480.9 | 500.9 | 482.9 |
남자 | 244.5 | 425.6 | 453.5 | 452.7 | 478.4 | 487.1 | 508.8 | 529.0 | 510.1 | |
여자 | 187.2 | 411.0 | 418.1 | 405.1 | 433.8 | 437.1 | 453.0 | 473.0 | 455.8 | |
연령 표준화 발생률* | 남녀전체 | 402.7 | 547.9 | 513.0 | 492.6 | 510.3 | 502.5 | 508.2 | 515.1 | 482.9 |
남자 | 573.3 | 675.5 | 626.1 | 603.4 | 615.5 | 603.9 | 607.3 | 607.8 | 563.8 | |
여자 | 294.7 | 477.0 | 447.0 | 425.3 | 447.0 | 441.6 | 448.6 | 460.3 | 435.6 |
*연령표준화발생률: 우리나라 2020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사용
❒ 조발생률: 해당 관찰기간동안 특정 인구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악성암 환자수를 전체 인구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인구 100,000명당 암이 발생하는 비율
❒ 연령표준화발생률: 각 연령군에 해당하는 표준인구의 비율을 가중치로 주어 산출한 가중평균발생률로 연령 구조가 다른 지역간 혹은 기간별 암발생률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분석자료의 표준인구는 우리나라 2020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사용하였다.
❒ 연간%변화율(Annual Percent Change, APC): 암발생률의 연간 증가/감소율. 연도별 연령표준화발생률에 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나온 값으로, 암발생률 추이를 요약하는 지표
❒ 연간%변화율 평균(Average Annual Percent Change, AAPC): 1999-2020년 동안 연간%변화율의 가중평균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