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융모질환은 대부분 자궁 안에서 발생합니다. 자궁은 골반 내에서 앞으로는 방광, 뒤쪽으로는 직장과 맞닿아 있으며, 자궁 양 옆으로 난소와 나팔관이 있습니다.
자궁에서 착상이 이루어져 융모(영양배엽 세포)가 형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정에서 착상까지의 세포분열 ]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집니다.
투명막으로 싸인 상실체는 포배로 변해 외벽으로 영양배엽(C)을 형성하며, 한쪽으로 치우친 세포 덩어리들은 배아(A, B)를 형성합니다.
수정 7일째, 투명막이 사라지고 자궁에 착상합니다.
영양배엽(C) 세포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비하며, 이식항원을 가지지 않아 거부 반응 없이 모체의 자궁내막과 혈관으로 침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양배엽(C)은 융모성선자극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영양배엽(C) 세포는 바깥 표면으로 뻗어나가 융모(J)를 형성하며 모체와 태아를 연결하는 태반의 일부가 됩니다. 태반은 태아 측의 융모막과 모체 측의 자궁내막의 일부(F, G)가 합쳐져서 형성되며, 태아와 모체 사이의 가스 및 물질교환과 임신유지를 위한 내분비 물질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분만 시 태반도 밖으로 떨어져 나오며, 태아와는 탯줄로 이어지는데 태아 출생 후의 태반은 중량이 약 600 g, 직경은 16 cm, 두께는 2 cm 가량입니다.
태반의 태아면은 평활한 양막으로 덮였으며, 모체면은 약 20여 개의 벨벳 모양의 융모(J)로 이루어졌습니다.
[ 여성 생식기의 위치와 구조 영상 ]
융모는 태반에 있는 수많은 작은 돌기로, 자궁에 부착해서 산소 및 영양을 공급 받아 탯줄을 통하여 태아에게 공급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