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임신융모질환

진행단계

암의 진행정도를 병기(stage)라고 하는데, 임신융모질환이 발견되면 다른 장기로의 전이 유무를 검사하고 그에 따라 병기를 결정합니다. 임신융모질환에서 포상기태는 양성질환이므로 병기에서 제외합니다. 악성인 임신성 융모상피암 중 암조직이 퍼진 정도와 다른 신체부위로 전이된 원격전이 여부에 따라서 1기에서 4기로 구분합니다.

[ FIGO에서 채택된 병기분류, 1991년 ]

[ FIGO에서 채택된 병기분류, 1991년 ]
병기 진 행 정 도
Ⅰ기 병변이 자궁 내에 국한
Ⅱ 기 병변이 자궁 밖까지 퍼져 있으나, 여성생식기(난소, 나팔관, 질, 광인대)에 국한
Ⅲ 기 폐로 전이됨
Ⅳ 기 생식기 및 폐 외의 전신적 전이

임신성 융모상피암의 예후인자를 점수화해서 위험도를 측정하는 분류법을 예후점수제라고 하며, 항암제 치료반응과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비전이성 융모상피암과 전이성 저위험 융모상피암의 경우 단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전이성 고위험 융모상피암의 경우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합니다. 일반적으로 예후점수가 7점 이상인 경우 고위험군으로 분류해서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합니다.

[ 임신성 융모상피종의 예후점수제 ]

[ 임신성 융모상피종의 예후점수제 ]
예 후 인 자 점수
0 1 2 4
나이 < 40 ≥ 40
선행임신형태 포상기태 유산 만삭출산
지난 임신과의 시간 간격* < 4 개월 4 ~ < 7 개월 7 ~ < 13 개월 ≥ 13 개월
치료 전 β-hCG 혈중농도 (IU/L) < 10 3 10 3 ~ < 10 4 10 4 ~ < 10 5 > 10 5
가장 큰 종양 크기 < 3 3 ~ < 5 ≥ 5
전이 장소 비장, 신장 위장관, 간장
전이 개수 1 ~ 4 5 ~ 8 > 8
선행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여부 1 drug ≥ 2 drugs

*이전 임신과 항암화학요법 간의 기간.

<위 콘텐츠는 대한부인종양학회의 참여로 제작되었습니다>

최종수정일 : 2024년 08월 29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