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임신융모질환

개요

임신융모질환을 치료하려면 우선 질병의 범위에 대해 철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과거력과 신체검사를 하고 복부와 골반의 초음파검사, β-hCG 혈중농도를 포함한 혈액검사를 합니다. 또 간, 신장,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합니다. 전이 병소에 대한 검사는 임상증상을 고려하여 단순흉부촬영, 머리(뇌), 골반(복부)의 전산화단층촬영(CT)나 자기공명영상(MRI)를 시행합니다. 또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나 양전자단층촬영-전산화단층촬영 복합영상(PET/CT)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의사의 진찰과 초음파검사

대부분 임신으로 산전 진찰을 받는 과정 중에 초음파검사에서 눈송이가 날리는 듯한 포상기태의 특징적인 소견이 보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자의 병력 중 이전임신과 관련된 병력이 가장 중요하며, 소파술을 시행하여 조직병리소견을 확인합니다.

조직검사

조직검사는 의심이 가는 신체의 조직을 떼어내어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하는 검사방법을 말합니다. 소파술이나 자궁절제술을 통해 얻은 조직을 육안 및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조직의 악성도를 확인합니다. 혈액검사나 영상검사 등과 더불어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융모성선자극호르몬 검사(human chorionic gonadotropin, β-hCG 검사)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은 임신 중 태반이나 임신융모질환의 영양배엽세포에서 분비되며, 임신 초기에 황체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이 호르몬수치는 영양배엽세포 수와 비례하므로 임신융모질환의 경우에는 정상임신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나타냅니다. 또 임신하지 않았는데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이 계속 측정되면 자궁 내에 잔여 영양배엽세포가 존재하거나 자궁근층이나 자궁 외 조직에서 영양배엽세포가 활성을 띤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상검사

단순흉부촬영을 통해서 폐 전이 유무를 확인합니다. 폐 전이가 있더라도 약40% 정도는 단순흉부촬영에서 정상으로 보이므로 기침, 객혈, 흉부 통증 등 폐 전이와 관련된 증상이 있다면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을 시행합니다. 뇌, 복부 등과 관련 증상이 있다면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전이 유무를 확인합니다.

뇌척수액 검사

뇌(측뇌실)에서는 매일 500~700ml의 뇌척수액을 생성해 뇌와 척수계를 순환하면서 완충작용을 합니다. 뇌척수액은 무색투명하며 물과 극미량의 단백질, 당 등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전이성 임신융모질환이거나 융모상피암으로 진단되었는데, 머리(뇌) 전산화단층촬영(CT)나 자기공명영상(MRI)검사가 정상이라면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하여 뇌전이를 배제할 수 있습니다. 뇌척수액과 혈액에서 동시에 β-hCG 농도를 측정하여 혈액과 뇌척수액의 β-hCG 비율이 60:1 이상인 경우 뇌전이를 진단합니다.

<위 콘텐츠는 대한부인종양학회의 참여로 제작되었습니다>

최종수정일 : 2024년 08월 29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