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임신융모질환

재발 및 전이

재발을 발견하기 위한 검진방법

혈중 β-hCG 농도의 지속적인 확인과 재발시의 치료

재발은 대부분 치료종료 후 수 개월 내에 일어나지만, 3년 이상 지나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치료종료 후 혈중 β-hCG 농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재발확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재발하면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외과치료 혹은 이들 치료법을 병용합니다.

임신융모질환의 치료에서 β-hCG 혈중농도는 치료효과 판정 및 재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β-hCG 혈중 농도가 3주 연속 정상범위이면 그 이후에는 1개월 간격으로 경과를 관찰하는데, 포상기태의 경우 최소 3개월, I, II, III기 전이성 임신융모질환(융모상피암 포함)은 1년, IV기 전이성 임신융모질환(융모상피암 포함)은 2년까지 1개월 간격으로 β-hCG 혈중농도검사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항암화학요법 중이면 난소의 기능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황체화 호르몬(LH)가 상승할 수 있는데, 황체화 호르몬은 β-hCG와 교차반응을 보여서 정확한 검사결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항암화학요법을 지속하는 경우 임상적 상태에 따라서 피임약을 복용하여 황체화 호르몬의 상승을 방지합니다. 또한 이형항체가 있는 경우에는 위양성으로 β-hCG가 상승하지만, 더 증가하지 않는 양상을 보이므로 결과해석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영상검사

추적 관찰 하면서 임상양상을 고려하여, 혈행성 전이가 이루어지는 부위(폐, 뇌 등)에 대한 영상검사를 시행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6년 01월 08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