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임신융모질환

치료현황

임신융모질환은 현재 혈액 β-hCG 농도를 측정하여 질환의 상태 즉, 치유여부를 판정합니다. 병이 호전되는 것을 ‘관해’라고 합니다. 암이 치료 전보다 50 % 이상 감소하면 부분 관해라 하고 질병의 모든 증상과 징후가 완전히 없어지고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완전 관해라고 합니다.

관해율은 침윤성 기태는 100 % 가까이 보고되며, 과거 융모상피암 예후점수제 분류법에 의하면, 융모상피암의 관해율은 예후점수표의 합계가 4점 이하인 저위험군 융모상피암이 100 %, 합계가 5-7점인 중등도 위험군 융모상피암 역시 100 % 가깝게 보고됩니다. 합계가 8점 이상인 고위험군 융모상피암은 50~80 % 정도의 관해율을 보입니다.

[ 융모상피암 병기와 위험군 분류에 의한 525명 환자의 관해율, 한국융모성 질환연구소 1973~1995년도 보고 ]

[ 융모상피암 병기와 위험군 분류에 의한 525명 환자의 관해율, 한국융모성 질환연구소 1973~1995년도 보고 ]
위험도
병기
저위험군
(4점 이하)
중등도 위험군
(5-7점)
고위험군
(8점 이상)
합계
100/105(99.0) 77/78(98.7) 13/14(92.9) 194/197(91.8)
18/18(100.0) 22/23(95.7) 16/20(80.0) 56/61(91.8)
33/37(89.2) 81/91(89.0) 75/96(78.1) 189/224(84.4)
- 1/1(100.0) 18/42(42.9) 19/43(44.2)
합계(%) 155/160(96.9) 181/193(93.8) 122/172(70.9) 458/525(87.2)

 

  (수치의 의미: 100/105(99.0)=관해환자수/환자수(관해 %)) 

위의 표는 5년 생존율이 아닌 관해율입니다. 5년 생존율은 동일질환의 진단 혹은 치료 후, 5년이 경과 된 뒤에 생존하는 사람의 백분율을 말합니다. 관해는 암의 증상이나 징후의 감소, 소실을 의미하며 관해율은 각각의 치료군에 대한 관해환자의 비율을 말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6년 01월 08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