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통계로 보는 암

암 유병률

  • ❒ 암유병자수: 암 치료를 받는 암환자 및 암 완치 후 생존하고 있는 사람을 포함한 수치로, 1999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22년 동안 암을 진단받은 사람 중 2021년 1월 1일 생존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산출
  • ❒ 조유병률: 해당 관찰기간동안 특정 인구집단의 유병자수를 전체인구로 나눈 값으로, 인구 100,000명당 암 유병자의 비율
  • ❒ 연령표준화유병률: 연령구조가 다른 지역별 또는 기간별 암유병률을 비교하기 위해 각 연령군에 해당하는 표준인구*의 비율을 가중치로 부여해 산출한 가중평균유병률
    * 표준인구: 우리나라 2020년 주민등록연앙인구

수행방법

암유병률은 암발생과 암생존의 영향을 하나로 종합하여 암의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암유병률 분석을 위해서 전국단위 암발생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20년까지 암발생자료를 이용하여 2021년 1월 1일까지 사망 여부를 추적하였습니다.

암유병률 통계 산출 결과

전국단위 암발생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20년까지 암유병자는 총 2,276,792(남 998,948명, 여 1,277,844명, 2021. 1. 1. 기준)이었습니다.

이는 2020년 우리나라 국민(51,349,267명) 23명당 1명(전체인구 대비 4.4%)이 암유병자라는 것을 뜻합니다.                                                                   *남자 26명당 1명(3.9%), 여자 20명당 1명(5.0%)

특히, 65세 이상에서는 7명당 1명이 암유병자였으며, 남자는 6명당 1명, 여자는 9명당 1명이 암유병자였습니다.                                                             *65세 이상 암유병자는 1,090,322명으로, 65세 이상 전체 인구(8,134,677명)의 13.4%에 해당(남자 16.8%, 여자 10.8%)

[모든 암 유병자수, 조유병률, 연령표준화유병률: 2020 ]

(단위: 명, %, 명/10만 명)

모든 암 암유병자수, 조유병률, 연령표준화유병률을 나타낸 표 입니다
구분 유병자수 전체인구 중 암유병자 분율 조유병률 연령표준화 유병률*
모든 암 남녀전체 2,276,792 4.4 4433.9 4433.9
남자 998,948 3.9 3901.2 4342.0
여자 1,277,844 5.0 4963.8 4770.0
갑상선암 제외한 모든 암 남녀전체 1,787,104 3.5 3480.3 3480.3
남자 907,402 3.5 3543.7 3979.8
여자 879,702 3.4 3417.2 3238.7

*우리나라 2020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사용


[연령군별 암유병 현황: 2020 ]

(단위: 명, %, 명/10만 명)

연령군별 암유병 현황을 나타낸 표 입니다.
구분 0-14세 15-34세 35-64세 65세 이상
유병자수 남녀전체 7,249 60,884 1,118,337 1,090,322
남자 3,992 22,929 381,442 590,585
여자 3,257 37,955 736,895 499,737
전체인구 중
암유병자 분율
남녀전체 0.11 0.49 4.59 13.40
남자 0.12 0.35 3.10 16.80
여자 0.10 0.64 6.10 10.82
조유병률 남녀전체 113.6 488.7 4588.1 13403.4
남자 121.8 352.1 3101.4 16797.3
여자 105.0 638.2 6102.5 10819.8

최종수정일 : 2023년 01월 06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