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암예방과 검진

질문과 답변

금연자료 관련 링크

담배를 끊으면 살이 찌나요?

니코틴은 체중 조절 중추 신경계에 작용을 하기 때문에 흡연자가 담배를 끊으면 일시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체중 증가 현상은 모든 금연자에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일부에게만 나타납니다.특히 남자 보다 여자가, 흡연량이 많았던 경우, 젊을수록 담배를 끊으면 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연 후 1년 이상의 장기적 체중 변화를 살펴보면 금연 자체가 아닌 금연 후의 신체활동 감소나 과도한 다이어트 등이 그 원인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금연 후의 체중 증가에 대한 염려가 금연 시도에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근거문헌]

Pisinger C, Jorgensen T. Waist circumference and weight following smoking cessation in a general population: The Inter99 study. Prev Med. 2007; 44: 290~295. Rodin J. Weight change following smoking cessation: the role of food intake and exercise. Addictive Behaviors. 1987; 12: 303~317. Klesges RC, Winders SE, Meyers AW, Eck LH, Ward KD, Hultquist CM, Ray JW, Shadish WR. How much weight gain occurs following smoking cessation? A comparison of weight gain using both continuous and point prevalence abstinence. J Consult Clin Psychol. 1997; 65(2): 286~291. Wiiliamson DF, Madans J, Anda RF, Kleinman JC, Giovino GA, Byers T. Smoking cessation and severity of weight gain in a national cohort. N Engl J Med. 1992; 324(11): 739~745. Filozof C, Fern?ndez Pinilla MC, Fern?ndez-Cruz A. Smoking cessation and weight gain. Ones Rev. 2004; 5(2): 95~103. USDHHS.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Atlanta, GA: USDHHS, 2000. Kesges RC, Meyers AW, Klesges LM, La Vasque ME. Smoking, body weight, and their effects on smoking behavio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ological Bulletin 1989; 106(2): 204~230. Willamson DF, Madans J, Anda RF, Kleinman JC, Giovino GA. Byers T. Smoking cessation and severity of weight gain in a national cohort. NEJM 1991; 324(11): 739~745. Fant R, Everson D, Dayton G, Pickworth WB, Henningfield JE. Nicotine dependence in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1996; 51(1~2): 19~20, 22~24, 28.

흡연을 하면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되나요?

흡연자에서 니코틴이 항우울제와 같은 역할을 하여 기분 변화가 있을 수 있으나, 흡연 행위 자체가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없습니다. 또한, 흡연이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흡연과 우울과의 연관성은 있으나, 흡연으로 인해 우울해 진다거나,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이 흡연을 하면 우울증이 감소된다거나 하는 인과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흡연자에서 우울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며, 이러한 경우 금연에 성공에 이르기가 어려운 측면이 많습니다.

[근거문헌]

Fried PA, Watkinson B. Differential effects on facets of attention in adolescents prenatally exposed to cigarettes and marihuana. Neurotoxicol Teratol 2001; 23(5): 421~430. Murphy JM, Horton NJ, Monson RR, Laird NM, Sobol AM, Leighton AH. Cigarette smoking in relation to depression: Historical trends from the Stirling County Study. Am J Psychiatry 2003; 160: 1663~1669. Haukkala A, Uutela A, Vartiainen E, Maclister A, Knekt P. Depression and smoking cesation: the role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ddictive Bheaviors 2000;25(2): 311~316. Mykletun A, Overland S, Aaro LE, Lisao HM, Stewart R. Smoking in relation to anxiety and depression: Evidence form a large population survey: The HUNT study. European Psychiatry. 2008; 23: 77~84. Friedmand-Wheeler DG, Ahrens AH, Haaga DAF, Mclintosh E, Thorndlike FP. Depressive symptoms, depression pronenessm and outcome expectancies for cigarette smoking. Cognit Ther Res 2007; 31(4): 547~557.

나의 니코틴 의존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일반적으로 하루 평균 흡연량이 10개비 미만인 경우 가벼운 흡연자(light smoker), 10-20개비인 경우 중간정도의 흡연자(moderate smoker), 20개비 이상(한갑 이상)인 경우 심한 흡연자(heavy smoker)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상세히 니코틴 의존도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도 개발되어 있습니다.

니코틴 의존도는 파거스트롬이 만든 설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니코틴 의존도 자가진단표- 파거스트롬 테스트(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y)

니코틴 의존도 평가
계산한 점수의 합에 따라 니코틴에 대한 나의 의존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낮은 의존도 (0~3)

    현재 니코틴 의존도가 아주 낮은 수준입니다.

    니코틴 의존도는 흡연량이 많아지거나 흡연한 시간이 길수록 더 높아집니다.

    ‘지금은 좀 피우고 나중에 완전히 끊어야지’, ‘나는 하루에 얼마 피우지 않으니까 괜찮아’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렇게 지속적으로 늘리다 보면 나중에 완전히 금연하는 것이 지금보다 훨씬 더 힘들 것입니다.

    그래서 가장 쉽게 금연할 수 있는 때가 바로 지금입니다.

    점점 니코틴 의존도가 높아지기 전에 지금 바로, ‘완전 금연’하세요!

  • 중간 정도의 의존도 (4~6)

    현재 니코틴 중독으로 인한 구체적인 증상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아직은 큰 고통 없이 담배를 끊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대신 쉽게 담배를 다시 피울 수 있어 금연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기간 담배를 피우다 보면 누구나 담배에 심리적, 신체적으로 의존하게 됩니다.

    일단 니코틴 의존이 생기면 자신을 조절하기 힘들므로 담배를 끊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잠재적 중독의 위험성과 건강에 해가 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지금이 바로 금연을 시작할 시기입니다.

  • 높은 의존도 (7~10)

    정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심리적, 신체적으로 니코틴에 의존이 생긴 상태입니다.

    니코틴은 뇌에 흡수되어 신경에 작용합니다.

    신경에 작용하는 물질 중에는 중독을 일으키기 쉬운 것들이 있으며,

    니코틴도 예외가 아닙니다. 니코틴이 몸에서 빠져나가 혈중 농도가 떨어지면 금단증상이 생깁니다.

    ‘한 대만 피웠으면…’ 하는 조바심도 금단증상의 한 모습입니다.

    담배를 끊기 어려운 이유는 금단증상이 내 마음과 뒤섞여 담배가 생활의 일부가 되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흡연을 중단하면 금단증상으로 금연을 지속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니코틴 패치 등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담배는 왜 끊기 어려운가요?

흡연은 니코틴에 의해 중독됨으로써 니코틴 의존도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일단 한번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면 끊기가 어렵습니다. 담배에 들어있는 니코틴은 약물 중독 증상을 유발하는 향정신성 물질로 기분을 좋게 하고 담배를 지속적으로 찾게 합니다. 흡연을 시작하게 되면 빠른 시간 안에 니코틴 중독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에 흡연은 국제질병분류(ICD-10) 기준에 의하면 ‘Tobacco dependence’로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 기준에 의하면 ‘Nicotine dependence’라고 분류되는 약물 중독의 일종입니다. 흡연이 지속되면 니코틴의 효과가 점차 감소하여 더 많은 니코틴을 요구하게 되므로 흡연량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갑자기 담배를 끊게 되면 니코틴 중독의 영향으로 신체적 의존을 특징으로 하는 금단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성인에서 니코틴 의존도는 흡연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흡연량에 따라 금단 증상이 빠르게는 2시간 이내, 느리게는 1일 이내에 나타납니다. 이 때 나타나는 주요 금단 증상은 흡연에 대한 갈망으로, 이는 니코틴의 영향이 실제 니코틴이 신체 내에 존재하는 시간 보다 더 오랫동안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청소년의 경우 흡연을 시작한지 1~2일 후부터 흡연에 대한 자제력이 없어지며, 하루에 2개비 정도 담배를 피우게 되면 국제질병분류(ICD-10) 기준에 의한 약물 의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청소년은 흡연을 시작한 지 23개월 내에 흡연 중독과 같은 증상을 보이며, 금연 시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금연을 시도하면 초기에 금단증상을 극복하지 못하고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되어 한 번에 금연에 성공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통은 반복적인 금연 시도와 금연 유지를 통하여 금연에 성공하게 됩니다. 금연이 성공하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나, 도움이 되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법적 규제 등으로 사회적 금연 분위기가 조성되면 금연율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근거문헌]

USDHH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Atlanta, GA: USDHHS. 2000

USDHHS. The Surgeon Report of General: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tlanta, GA: USDHHS. 2004

Kandel DB, Hu MC, Griesler PC, Schaffran C. On the development of nicotine dependence in adolescence. Drug Alcohol Depend. 2007; 91(1): 26-39.

Kandel D, Schaffran C, Griesler P, Samuolis J, Davies M, Galanti R. On the Measurement of Nicotine Dependence in Adolescence: Comparisons of the mFTQ and a DSM-IV-Based Scale. J Pediatr Psychol. 2005; 30(4): 319-332.

Hendricks PS, Ditre JW, Drobes DJ, Brandon TH. The early time course of smoking withdrawal effects. Psychopharmacology 2006; 187(3):385~396.

금연 중 흡연욕구가 강할 때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담배를 피우고 싶다는 마음이 강할 때 담배를 피우던 피우지 않던 흡연 욕구에 의한 힘든 상황은 지나가게 되어 있습니다. 흡연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키고 금단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는 편안한 자세로 심호흡을 하거나 간단한 체조와 같은 스트레칭을 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갑자기 강한 흡연욕구가 생길 때에는 니코틴껌을 씹거나 니코틴캔디를 먹는 것도 일시적인 갈망을 사그라들게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식사 후에는 바로 양치질을 하고, 가능한 물을 많이 마시며, 다른 사람과 금연에 관해 이야기 하는 것도 금연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근거문헌]

McClernon FJ, Westman EC, Rose JE. The effects of controlled deep breathing on smoking withdrawal symptoms in dependent smokers. Addictive Behaviors 2004; 29(4):765~772.

Daniel J, Cropley M, Ussher M, West R. Acute effects of a short bout of moderate versus light intensity exercise versus inactivity on tobacco withdrawal symptoms in sedentary smokers. Psychopharmacology 2004; 174(3): 320~326.

Taylor AH, Ussher MH, Faulkner G. The acute effects of exercise on cigarette cravings, withdrawal symptoms, affect and smoking behaviour: a systematic review. Addiction 2007; 102(4): 534~543.

Smoking Cessation Guidelines for Australian general practice handbook 2004 edition.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ing.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Smoking Cessation Guidelines: How to treat your patient's tobacco addiction. 2000.

On The Road to Quit: Guide to Becoming a Non-smoker. Ottawa, Canada: Authority of the Minister of Health. Available from www.gosmoke.ca. Accessed at 5 March, 2008.

Edwin B. Fisher Jr. 7 steps to a smoke-free life, American Lung Association, 1998.

금연을 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일반적으로 금연을 위한 방법으로는 흡연량이나 니코틴양을 줄여나가는 감연법이나 한 번에 딱 끊는 단연법의 행동요법과 니코틴 대체요법을 포함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약물요법이 있습니다.

  • 행동요법

    흡연량을 차차 줄여가며 끊는 감연법은 담배를 한 번에 끊기에는 금단 증상이 너무 심한 경우에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감연법을 통해 금연에 이르는 비율은 단연법에 비해 1.7배 정도 높이는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따라서 금연을 유도하는 첫 단계로서 흡연량을 차차 줄여가는 것도 하나의 금연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연의지가 있는 사람들은 주로 단연법을 선택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금연 의지가 약한 사람들이 감연법을 선택하는 경향으로, 실제 감연법이 금연에는 이르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금단 증상 대처 전

    금단 증상 대처 전
    금단 증상 대처 방법
    1. 긴장, 불안, 초조 산책, 심호흡, 명상, 따듯한 물에 목욕하기
    2. 우울 긍정적 사고, 주변의 친구 및 가족과의 대화, 우울이 심해지면 의사와 상담
    3. 입맛의 변화 물을 충분히 마시기, 긴장 완화 및 휴식
    4. 변비 균형 잡힌 식사,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저지방 음식 섭취
    5. 불면증 카페인 함유 음료 피하기(특히, 잠들기 전에)
    6. 집중력 저하 규칙적으로 휴식을 취하면서, 규모가 큰일을 할 경우에는 일은 세부적으로 나누어 처리하기
    7. 현기증 현기증이 없어질 때까지 앉아서 휴식하기

    흡연에 대한 갈망 및 유혹 물리치기

    흡연에 대한 갈망 및 유혹 물리치기
    상황 대처 방법
    1. 옆 사람의 흡연 잠시 동안 흡연자를 피하기, 음식점에서 금연 구역에 앉기, 흡연을 하는 친구들에게 현재 금연 중임을 알리기
    2. 술 술자리를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3. 커피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 대신 쥬스나 물 마시기
    4. 아침에 일어나서 흡연 욕구를 느낄 때 아침에 일어나서 첫 번째로 하는 일을 흡연에서 다른 것으로 대체하기 - 산책 또는 샤워
    5. 식사 후 식후 즉시 테이블에서 일어나기. 식후 바로 설거지를 하고, 양치를 하거나, 친구에게 전화 걸기
    6. 담배가 매우 피고 싶을 때 흡연에 대한 욕구가 없어질 때까지 담배 생각이 안 나도록 다른 행동하기 - 퍼즐을 하거나, 웰빙 스낵을 먹거나, 물을 마시거나, 텔레비전을 보기
    7. 스트레스 스트레스 원인을 없애거나, 대처 방법을 변화시키기 - 심호흡, 명상 또는 요가를 통해 스트레스 대처
  • 약물요법

    금연을 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가 금단증상이므로, 이를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약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약물요법은 크게 니코틴을 제공하는 니코틴 대체요법과 그 밖의 전문의약품을 이용한 약물요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니코틴 대체요법은 금연을 시도한 후 생기는 금단 증상을 줄여주기 위해서 니코틴을 약의 형태로 정제하여 피부나 구강점막을 통해 공급하는 금연보조요법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피부에 붙이는 니코틴 패치가 있으며, 니코틴 껌, 니코틴 캔디도 있습니다. 형태만 다를 뿐 니코틴을 공급하는 효능은 같으므로 개인의 기호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니코틴 의존도에 따라 고용량과 저용량으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니코틴 대체요법은 일반의약품으로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현재 허가된 전문의약품 약물요법에는 부프로피온과 바레니클린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부프로피온은 뇌의 도파민이나 노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이들 신경 전달 물질을 높게 유지시키는데,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은 우울 증세와 니코틴에 의한 금단 증세를 줄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레니클린은 뇌의 니코틴 수용체에 작용하여 이론상 약에 대한 의존성 없이 금단 증상이나 흡연 욕구를 줄여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두 약물은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요법은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금연성공률이 2~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요법은 어디까지나 금연을 보조적으로 도와주는 것일 뿐, 약물의 도움으로만 금연에 성공하기는 힘듭니다. 따라서 본인의 강력한 금연 의지와 생활습관의 개선이 뒤따라야만 금연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그 밖의 금연 보조제로 금연침이나 금연초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과학적으로 충분히 입증되지 못하였습니다. 금연 보조제를 사용할경우 제품설명서에 명기된 사용방법이나 금기사항을 숙지하시고, 필요한 경우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사용방법 및 용량 등을 조절하도록 합니다.

  • 금연서비스

    금연을 도와주는 기관이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금연상담전화(1544-9030)는 금연전문상담사가 1대1 전화 상담을 통하여 금연으로 이르는 길을 도와드립니다. 이용요금 무료. 자세한 내용은 http://quitline.hp.go.kr 참고 전국 보건소에는 금연클리닉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금연클리닉에 방문하시면 흡연량을 평가하는 각종 검사와 전문상담 및 필요한 경우 니코틴 대체제를 제공해드립니다. 이용요금 무료. 자세한 내용은 가까운 보건소로. 그 밖에 일부 병의원에서도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의사의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근거문헌]

    Fried PA, Watkinson B. Differential effects on facets of attention in adolescents prenatally exposed to cigarettes and marihuana. Neurotoxicol Teratol 2001; 23(5): 421~430. Murphy JM, Horton NJ, Monson RR, Laird NM, Sobol AM, Leighton AH. Cigarette smoking in relation to depression: Historical trends from the Stirling County Study. Am J Psychiatry 2003; 160: 1663~1669. Haukkala A, Uutela A, Vartiainen E, Maclister A, Knekt P. Depression and smoking cesation: the role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ddictive Bheaviors 2000;25(2): 311~316. Mykletun A, Overland S, Aaro LE, Lisao HM, Stewart R. Smoking in relation to anxiety and depression: Evidence form a large population survey: The HUNT study. European Psychiatry. 2008; 23: 77~84. Friedmand-Wheeler DG, Ahrens AH, Haaga DAF, Mclintosh E, Thorndlike FP. Depressive symptoms, depression pronenessm and outcome expectancies for cigarette smoking. Cognit Ther Res 2007; 31(4): 547~557.

금연 금단 증상은 무엇인가요?

금단증상이란 장기간 사용했던 약물을 더 이상 복용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신체가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정신적 증상이며 대개는 일시적입니다. 금연에 의한 금단증상은 두뇌 에너지 대사 변화, 내분비 및 신경계 작용 등 신체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니코틴을 담배를 통해 더 이상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 생기게 되며, 금연 후 1주 이내에 그 증상이 최고조에 이르러 2~4주 동안 지속됩니다. 금연 금단 증상에는 기침, 가래, 갈증, 인후염, 짜증, 두통, 집중력 장애, 불안, 불면, 배변장애, 졸림, 식욕증가, 우울 등이 있으며, 여러 금단 증상 중 우울 및 집중력 장애 등의 증상은 4주 이내에 정상수준으로 회복하지만, 흡연에 대한 갈망과 같은 금단 증상은 더 오랜 기간 지속됩니다.

[근거문헌]

West, R. and Shiffman, S. Smoking cessation. Fast Facts. Oxford, Health Press, 2004

“ENCOURAGING PEOPLE TO STOP SMOKING”, (WHO, 2001)

John R Hughes. Effects of abstinence from tobacco: valid symptoms and time course. Nicotine & Tobacco Research 2007;9(3):315-327

West RJ, Hajek P, Belcher M. Time course of cigarette withdrawal symptoms during four weeks of treatment with nicotine chewing gum. Addictive Behaviors. 1987; 12(2): 199~203.

USDHH. The health consequence of smoking: Nicotine addiction. A Report of Surgeon General. 1988.

담배를 애초에 안피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담배는 중독성이 강해서 한번 피우기 시작하면 끊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애초에 담배를 피우지 않는 흡연 예방이 중요합니다. 흡연 예방은 담배를 처음 접하는 연령 이전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국가적 차원의 규제와 교육 및 지역사회와 가족 내의 금연 분위기가 필요합니다. 부모 중 흡연자가 있는 경우 자녀는 보다 쉽게 흡연을 시작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족 앞에서의 흡연은 삼가야 합니다. 친구가 흡연을 하는 경우 동질감을 느끼고자 쉽게 담배를 피우게 됩니다. 따라서 청소년기 학생 주위에 금연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담배광고나 대중매체의 흡연 장면 노출은 청소년의 흡연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최근 각종 규제로 담배광고나 대중매체의 흡연 장면이 크게 줄어들고 있습니다만, 이러한 제재는 흡연 예방을 위해 더욱 강화되어야 합니다.

[근거문헌]

Lenney W, Enderby B, Metcalfe C, Niaura R. "Blowing in the wind": a review of teenage smoking. Arch Dis Child. 2008; 93(1); 72-75.

Nichols HB, Harlow BL. Childhood abuse and risk of smoking onset.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7; 58(5); 402-406.

Dalton MA, Sargent JD, Beach ML, Titus-Ernstoff L, Gibson JJ, Ahrens MB, Tickle JJ, Heatherton TF, Effect of viewing smoking in movies on adolescent smoking initiation: a cohort study. Lancet. 2003; 362(9380).281-285.

Miller CH, Burgoon M, Grandpre JR, Alvaro EM, Identifying principal risk factors for the initiation of adolescent smoking behaviors: the significance of psychological reactance. Health Commun. 2006; 19(3).241-252.

Chassin L, Presson CC, Rose J, Sherman SJ, Davis MJ, Gonzalez JL, Parenting style and smoking-specific parenting practices as predictors of adolescent smoking onset. J Pediatr Psychol. 2005; 30(4).333-344.

de Vries H, Engels R, Kremers S, Wetzels J, Mudde A, Parents' and friends' smoking status as predictors of smoking onset: findings from six European countries. Health Educ Res. 2003; 18(5).627-636.

Huang HL, Hsu CC, Magnus JH, Chen FL, Rice J, Lee CH, Yen YY, Chen T, Perceived smoking prevalence at school-level and children's smoking initiation: A multi-level analysis of a cross-sectional data in Taiwan. Health Policy. 2008;86(2-3):213-221

간접흡연으로도 암에 걸리나요?

간접흡연 역시 암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간접흡연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비흡연자에 비하여 폐암 발생 위험이 20~30%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여성 유방암, 어린이 백혈병, 위암, 자궁경부암, 인후두암, 방광암이 간접흡연에 의해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부모로부터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자녀의 경우 비암(코암)과 신경계암 발생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거문헌]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Public health office of surgeon general. 2006

Takeshi Hirayama. Non-smoking wives of heavy smokers have a higher risk of lung cancer: A study from Japan.1981. World Health Organization.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78(7): 940~942.

A Judson Wells. Lung Cancer From Passive Smoking at Work. American Joumal of Public Health. 1998; 88(7): 1025~1029.

Fredrik N, Veronica A, Katharina S, Christer S, Goran P.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Lung Cancer in Nonsmokers : Does Time since Exposure Play a Role?. Epidemiology. 1998; 9(3): 301~308.

A K Hackshaw, M R Law, N J Wald. The accumulated evidence on lung cancer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British Medical Journal. 1997; 315(7114): 980~988.

Paul B, Patricia A B, Peggy R, Anna H W, H Erich W, Antonio A, Goran P, Karl-Heinz J, Simone B, Raymond S G, Franco M, Carlos W, Elizabeth T H F, Michaela K, Sarah C D, Francesco F, Lorenzo S, PAOLO B. Secondhand smoke exposure in adulthood and risk of lung cancer among never smokers: A pooled analysis of two large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2004; 109(1): 125~131.

Bine K B, Ole R, Mette S, Kirsten F, Jane C,Anne T, Kim O, Francoise C C, Gabriele N, Jenny C, Manuela M B, Heiner B, Dimitrios T, Antonia T, Eleni O, Franco B, Domenico P, Rosario T, Paolo V, Salvatore P, Petra HM Peeters,H. Bas B, Lambertus K, Inger T G, Tonje B, Eiliv L,Carlos A. Gonzalez, Goran B, Naomi A, Andrew R, Sheila B, Elio R. Tobacco smoke and bladder cancer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2006; 119(10):2412~2416.

간접흡연이란?

간접흡연은 비흡연자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담배 연기를 들이 마시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접흡연의 종류는 이차흡연과 삼차흡연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차흡연으로 인해 노출되는 담배연기는 연기가 발생되는 방식에 따라 주류연과 부류연으로 구성됩니다.

  • 이차흡연(secondhand smoke)

    • 주류연(mainstream smoke) :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들여 마셨다가 다시 내뱉는 연기
    • 부류연(side stream smoke) : 담배의 끝에서 직접 나오는 연기
    • 구성 성분 : 4,000종 이상의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중 최소한 250개의 화학물질이 맹독성이거나 발암물질이라고 알려져 있고, 그 중 50가지 이상은 발암물질이라고 규명 되었습니다. 간접흡연으로 노출되는 담배연기의 80~85%는 부류연이며, 주류연보다 저온에서 불완전 연소되기 때문에 더 많고 고농도의 발암물질과 유해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부류연은 주류연보다 암모니아 73배, 탄산가스는 8.1배, 일산화탄소는 2.5배, 메탄은 3.1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합니다. 타르는 4.3배, 톨루엔은 5.6배 많이 발생하며, 특히 발암물질인 피렌은 3.6배, 벤조피렌은 3.4배가 부류연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삼차흡연(thirdhand smoke)

    이차흡연과 삼차흡연은 화학적, 독성학적, 행태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집니다. 이차흡연이 흡연자가 내뿜는 담배 연기와 담배 끝에서 타오르는 연기의 직접적인 흡입에 의한 노출이라 한다면, 삼차흡연은 흡연자가 담배를 피운 이후 공간의 표면이나 먼지에 남아있는 오염물질, 가스 형태로 재방출되는 오염물질, 환경에서 산화성 물질이나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이차의 오염원으로 만들어진 물질을 비흡연자가 들이마시거나 피부를 통해 흡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담배 연기는 실내의 다양한 표면에 흡착되는데, 석고보드, 카페트, 소파, 커튼, 벽지, 가구 등에 흡착되어 오염원의 저장고 역할을 합니다. 특히 니코틴과 타르는 끈적거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실내 표면에 쉽게 흡착되고 오랜 시간동안 남아있게 됩니다. 실제 연구에 의하면 이렇게 실내 표면에 남아있는 삼차흡연 오염물질은 담배를 피운 뒤 며칠, 몇주, 심지어 몇 달이 지나도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런 삼차흡연은 특히 공간이 좁고 밀폐된 흡연자의 자동차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들로 최근 영국에서는 어린이가 타고 있는 자동차 내에서의 흡연을 금지하는 법안를 제정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근거문헌]

    USDHHH. Children and secondhand smoke exposure: Excerpts from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Public Health Service,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2007)

    USDHHH. The Health Consenquence of Involuntary Esposure to Tobacco Smoke : A Report of the Surgeneon General(2006)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spiratory health effect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EPA/600/6-90/006F). Washington DC: US EPA,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689(1992)

    Wallace L et al. Exposures to benzene and other volatile compounds from active and passive smoking. Arch Environ Health. 1987;42(5):272-9.

    Chesebro MJ. Passive smoking. Am Fam Physician 1988;37(5):212-8

    Georg EM, et al. Thirdhand Tobacco Smoke: Emerging Evidence and Arguments for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Agenda.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11 May

우리나라 흡연 실태

우리나라 국민의 흡연율 통계는 크게 세 가지 흡연율 조사를 통하여 파악됩니다. 첫 번째는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하는 국민건강통계이고, 두 번째는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흡연실태조사입니다. 조사 방법에서 차이가 있으나 흡연율 통계와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청소년의 흡연율 통계는 보건복지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공동으로 실시하는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가 대표적입니다.

  • 성인 남자

    성인 남자의 흡연률은 2010년 현재 48.3%입니다. 과거 20년간 1992년 75.1%에서 크게 감소하였지만 OECD 회원국 중 흡연율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할 정도로 아직 흡연율이 높습니다.

  • 성인 여자

    성인 여자의 흡연율은 2010년 현재 6.3%로, 남성에 비해 뚜렷하게 낮습니다. 여성 흡연율은 과거 20년간 큰 변동 없이 3~7%를 유지하고 있으나, 20대 젊은 여성의 흡연율은 10%를 넘고 있습니다.

  • 청소년

    2010년 현재 중고등학생의 흡연율(최근 30일 동안 1일 이상 흡연)은 남학생 16.6%, 여학생 7.1%로, 과거 10년간 서서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흡연율,2010년 - 성인남자 48.3%, 성인여자 6.3%, 남자청소년 16.6%, 여자청소년 7.1%

    [근거문헌]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0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교육인적자원부. 제6차(2010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통계

전체 암 발생에서 흡연이 차지하는 부분은 얼마나 되나요?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전체 암 사망 중 흡연으로 인한 사망이 약 30%를 차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최근 연구로써 미국의 암예방연구(Cancer Prevention Study Ⅱ)에 따르면, 전체 암 사망 중 흡연으로 인한 사망이 차지하는 비중은 남성에서 52%, 여성에서 43%에 이른다고 합니다. 국내 연구에서도 남자의 경우 전체 암 발생 중 흡연으로 인한 암 발생은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근거문헌]

NCI. Monograph 8: Changes in cigarette-related disease risk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revalence and control, 1997.

Yun YH, Jung KW, Bae JM, Lee JS, Shin SA, Park SM, Yoo T, Huh BY. Cigarette smoking and cancer incidence risk in adult me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udy.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2005; 29(1):15~24.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발생

우리나라의 경우 대표성 있는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발생률에 관한 보고는 없으나, 현재까지 보고된 흡연 상태에 따른 질병 발생의 상대 위험도(노출군과 비노출군의 질병 발생률의 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 1.04배(95%신뢰구간: 0.81~1.34)
  • 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 2.03배(95%신뢰구간: 1.24~3.32)
  • 허혈성 심질환 발생 위험 1.67배(95%신뢰구간: 0.91~3.06)
  • 당뇨 발생 위험 3.22배(95%신뢰구간: 1.80~5.76)
  • 폐렴 발생 발생 위험 1.73배(95%신뢰구간: 0.95~3.17)
  • 만성하기도질환 발생 위험 2.73배(95%신뢰구간: 1.46~5.10)
  • 전체 암발생 위험 1.49배 (95%신뢰구간: 1.39~1.59)

[근거문헌]

김혜련, 강영호, 박은자, 최정수, 이연희, 김영삼. 한국인의 사망과 질병 및 의료이용의 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Jee SH, Samet JM, Ohrr H, Kim JH, Kim IS. Smoking and cancer risk in Korean men and women. Cancer Cause and Control 2004; 15(4):341~348.

Yun YH, Jung KW, Bae JM, Lee JS, Shin SA, Park SM, Yoo T, Huh BY. Cigarette smoking and cancer incidence risk in adult me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udy.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2005; 29(1): 15~24.

Sun Ha Jee et al. Smoking and risk for diabetes incidence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Diabetes Care. 2010; 33(12): 2567~2572

흡연으로 인한 사망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적으로 전체 사망 원인 중 담배로 인한 사망이 8.8%(490만명) 수준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이러한 추세라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담배로 인한 사망은 전 세계적으로 약 1억5천만명에 이를 것이라 발표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표성 있는 연구는 아직 없으나, 제한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나온 흡연으로 인한 조기 사망은 남자에서 57.7%, 여자는 11.4%에 이르고 있으며, 흡연자의 사망률은 비흡연자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근거문헌]

Ha BM, Yoon SJ, Lee HY, Ahn HS, Kim CS, Shin YS. Measuring the burden of premature death due to smoking in Korea form 1990 to 1999. Public Health. 2003; 117(5): 358~365.

WHO.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 Chapt. 4. Quantifying selected major risks to health.

Ezzati M, Lopez AD. Estimates of global mortality attributable to smoking in 2000. Lancet. 2003; 362(9387): 847~852.

Y H Khang et al. Explaining age-specific inequalities in mortality from all caus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ischaemic heart disease among South Korean male public servants: relative and absolute perspectives. Heart. 2008; 94(1): 75~82

IARC. World Cancer Report 2008. Chapt 2. Etiology of Cancer.

흡연과 관련 있는 암

흡연 기간 및 흡연량에 따라 암발생 위험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흡연은 암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입니다. 흡연과의 연관성이 증명된 암에는 폐암, 위암, 식도암, 구강암, 후두암, 췌장암, 신장암, 방광암, 백혈병, 자궁경부암이 있으며, 그 밖에도 간암, 유방암, 대장암이 흡연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근거문헌]

USDHHS.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tnion and Human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04.

IARC Working Group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Vol. 83 Tobacco Smoke and Involuntary Smoking. Lyon, France: IARC, 2004.

Yun YH, Jung KW, Bae JM, Lee JS, Shin SA, Park SM, Yoo T, Huh BY. Cigarette smoking and cancer incidence risk in adult me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udy.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2005; 29(1):15~24.

담배를 피운 경우 유해물질의 신체 대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니코틴은 주로 간에서 대사되고 일부는 폐에서 대사됩니다. 대사 과정에서 니코틴은 코티닌과 니코틴-엔-옥시드(nicotine-N'-oxide)로 분리 되고, 코티닌은 주로 간에서 대사 됩니다. 니코틴은 대사되고 나면 주로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는데 (전체 배출양의 5~10% 정도), 코티닌 중 17% 정도는 대사가 되지 않은 상태로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소변내의 니코틴 반감기는 2시간이며, 코티닌의 반감기는 18시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 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는 혈액 내로 흡수되어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arboxyhemoglobin, COHb)의 형태로 존재하며, 일산화탄소는 주로 호흡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데, 배출률은 폐혈류량과 환기량에 따라 다릅니다. 금연 후에 혈중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농도는 점차 감소하게 되고,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의 반감기는 낮에는 2~4시간, 수면 중에는 8시간 정도입니다. 그 외 흡연과 관련이 있는 대사물질로는 소변에서 확인 가능한 여러 가지 화합물이 있습니다. 흡연자의 내뱉는 호흡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의 농도는 비흡연자보다 높으며, 이중에는 대표적 발암물질인 벤젠과 1,3-부타디엔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거문헌]

Assieh A M, Mirjana V D, Shuquan C, John R, Steven D S. Effect of Delivered Dosage of Cigarette Smoke Toxins on the Levels of Urinary Biomarkers of Exposure.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2007; 16(7): 1408~1415.

Stephen S.Hecht. Human urinary carcinogen metabolites: biomarkers for investigating tobacco and cancer. carcinogenesis. 2002; 23(6): 907~922.

USDHH. The health consequence of smoking: Nicotine addiction. A Report of Surgeon General. 1988.

Sydney M. Gordon et 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 Breath Biomarkers for Active and Passive Smoking. Environ Health Perspect. 2002; 110(7):689~698

Stephen S.Hecht. Tobacco carcinogens, their biomarkers and tobacco-induced cancer. Nat Rev Cancer. 2003; 3(10): 733~744

Sharon E. Murphy et al. A comparison of urinary biomarkers of tobacco and carcinogen exposure in smokers.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2004; 13(10): 1617~1622

왜 청소년 흡연은 더 해로운가요?

어릴 때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면 정신적이나 신체적으로 미성숙한 상황에서 담배의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중독이 심해지고 건강에 더욱 해로울 수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기의 간접흡연 역시 해롭습니다. 청소년기에 담배를 피우게 되면 대부분 성인이 되어서도 담배를 피우게 됩니다. 그리고 니코틴 의존을 통하여 음주나 본드흡입, 더욱 강렬한 의존성 약물을 찾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흡연은 우울증과 관계가 있어 자살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흡연은 성장기 청소년의 알레르기 반응을 증가시키고, 간접흡연 노출은 인지·행동발달 장애, 성장 저하, 호흡기 질환과 장애, 중이염, 피부질환, 천식 등과 관련 있습니다.

[근거문헌]

Munafo MR, Hitsman B, Rende R, Metcalfe C, Niaura R. Effects of progression to cigarette smoking on depressed mood in adolescents: evidence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Addiction. 2008; 103(1); 162~171.

Duncan B, Rees DI. Effect of smoking on depressive symptomatology: a reexamination of data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Addiction. 2008; 103(1)162-171

Riala K, Viilo K, Hakko H, Rasanen P, STUDY-Seventy Research Group. Heavy daily smoking among under 18-year-old psychiatric inpatient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suicide attempts. Eur Psychiatry. 2007; 22(4).219-222.

Makikyro TH, Hakko HH, Timonen MJ, Lappalainen JA, Ilomaki RS, Marttunen MJ, Laksy K, Rasanen PK, Smoking and suicidality among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J Adolesc Health. 2004; 34(3).250-253.

Chang G, Sherritt L, Knight JR,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and mental health symptoms. J Adolesc Health. 2005; 36(6).517-522.

USDHHS. Preventing tobacco use among young peopl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DHHS, 1994.

USDHHS. Children and Secondhand Smoke Exposur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DHHS, 2007.

흡연에 대한 신체반응

흡연은 폐암, 위암, 자궁경부암, 후두암, 췌장암 등 다양한 암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며,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폐렴, 천식 등의 호흡기계질환, 그리고 영아돌연사 증후군 및 임신 중 합병증과 같은 생식기계 질환 등의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밝혀져 있으며, 질병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흡연량이란 것은 없습니다. 흡연에 의한 단계별 신체 부위별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흡연은 상기도에서는 섬모의 소실과 점막샘의 과증식, 말초기관지에서는 염증, 상피증식, 섬유화, 분비물로 채워지는 현상 등 기도, 기관, 모세기관지에까지 손상을 유발하게 되며, 폐포는 파괴되어 가스교환 면적이 작아지고 기도의 유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폐의 염증 및 폐포 파괴, 평활근 과증식, 기관지 주변의 섬유화 과정이 진행되면 폐기종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발생시키거나 전암 병변인 편평상피화 변형을 일으켜 암발생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면역계의 변화로 면역글로불린(IgM, IgE)의 농도가 증가하여 알레르기 발생도 증가시킵니다. 흡연을 하면 니코틴의 작용으로 맥박, 혈압, 심근수축력 상승시키며, 혈액 응고계에 변화를 일으켜 혈전 형성을 용이하게 만들고, 혈관 확장기능의 손상,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산화 촉진, 혈관 내피세포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손상을 초래하여 혈관내피 손상 및 동맥경화를 발생시킵니다. 흡연은 사구체 손상 및 사구체경화를 진행시키고, 신혈류량 감소를 일으켜 신기능 손상을 초래합니다. 간접흡연은 관상동맥질환과 심혈관질환의 발생율을 흡연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시킵니다. 흡연은 눈의 결막에 자극적인 영향을 주며, 혈관수축을 통하여 허혈성 시신경변화를 일으킬 수 있고, 눈의 맥락막 혈관의 경화와 망막의 저산소 손상을 일으킴으로써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RMD)의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흡연은 백내장 발생을 증가시키고, 녹내장 발생과 관련된 안압상승과 약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흡연은 혈관을 손상시킴으로써 발기 부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발기 부전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발생의 위험도가 흡연에 의해 증폭됩니다. 임신 중 흡연은 자연유산, 태반 조기박리, 저체중출생아, 기형발생의 위험율을 높이며, 산모 흡연은 영아돌연사망증후군의 유병율 증가와 연관성이 있습니다. 그밖에 흡연은 구강내 혈관 손상을 일으켜 조직의 저산소증, 면역체계에 변화를 초래하여 치주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거문헌]

Milner D.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moking on the respiratory system. Nursing Times NT. 2004; 100(24):56~59.

Baggio B, Budakovic A, Gambro 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moking and kidney function.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1998; 13(Supplement):2~5.

Solberg Y, Rosner M, Belkin M. The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ocular disease. survey of ophthalmology. 1998; 42(6):535~547.

Stick S. The effects of in-utero tobacco-toxin exposure on the respiratory system in children.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6; 6(5):312~316.

Conde-Agudelo A, Althabe F, Belizan JM, Kafury-Goeta AC. Cigarette smoking during pregnancy and risk of preeclampsia: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9; 181(4):1026~1035.

USDHHS.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04.

USDHHS. How Tobacco Smoke Causes Diseas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10.

담배와 담배연기의 성분

담배와 담배연기의 성분 속에는 매우 많은 유해물질이 들어있습니다. 2-나프틸아민, 4-아미노비페닐, 벤젠(휘발유 성분), 비닐클로라이드(PVC 원료), 이틸렌 옥시드, 비소(사약 성분), 베릴리움, 니켈 화합물(중금속), 크로뮴(중금속), 카드뮴(중금속), 폴로늄-210(방사능 물질) 등의 강력한 발암물질을 포함하여 60여종의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니코틴(중독물질, 살충제), 아세톤(매니큐어 제거액), 나프탈렌(좀약), 디디티(살충제), 부탄(가스), 타르(아스팔트), 일산화탄소(연탄가스), 청산가스(사형가스) 등의 몸에 해로운 화학물질이 들어있습니다. 담배를 피우면 이러한 성분이 뜨거운 온도에 연기로 변하여 폐로 흡수되고, 폐로 흡수된 화학물질은 혈액에 녹아 뇌를 포함한 몸 전체로 퍼집니다. 이러한 담배의 해로움은 많이 피울수록, 오래 피울수록 누적되어 해로움이 더욱 커지고, 결국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을 일으키게 됩니다.

[근거문헌]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Volume 83): Tobacco Smoke and Involuntary Smoking. 2004

최종수정일 : 2023년 06월 13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