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암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아직까지 표준치료가 완전히 정립된 상태가 아닙니다. 환자 개개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양하고 병기, 위치, 침윤된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무엇보다 질암 치료계획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환자의 질 기능을 유지해 주는 것입니다.
단순히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이나 경증의 질 상피 내 종양인 경우에는 치료하지 않아도 자연 소멸되는 경우가 있지만, 중증 질 상피내 종양인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에도 골반 내 재발률이 높고, 원격전이가 흔하여 치료결과는 매우 불투명합니다. 또한 질 근처에는 직장, 방광, 요도가 있어서 방사선 조사 용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수술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병소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질암의 치료방법은 크게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의 3가지 방법이 있으며, 매우 초기 단계의 질암은 레이저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또한 병기에 따라 1가지 치료 또는 2가지 이상의 치료방법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비교적 초기의 병변이 질의 표층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와 질의 상부 1/3 부위에 있는 경우에 시행하며, 수술로 암을 충분히 절제합니다.
강력한 빛의 빔을 사용하여 출혈 없이 질 표면의 병소를 제거합니다.
작은 병변의 암을 제거하기 위해 암과 함께 주변 조직도 일정 범위까지 함께 제거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암세포가 주위의 조직에 퍼져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암이 주위 장기까지 퍼졌다면 자궁체부와 자궁경부를 포함하여 수술로 제거합니다. 만약 암이 질 밖으로 퍼졌다면 다른 생식기관, 즉 자궁, 난소, 난관을 포함해서 수술로 제거해야 합니다. 암이 질 상부에 위치할 때 자궁 전체, 난소, 질의 1/3뿐만 아니라 인대 및 자궁천골 인대를 절제하며, 림프절절제술도 같이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암이 질에서 인접한 방광 또는 직장까지 넓게 전이되거나 4기암에서 직장-질 샛길(누공) 및 방광-직장 샛길(누공)이 생겼을 때 시행합니다. 이 경우 자궁과 질뿐만 아니라, 직장과 방광까지 제거하여 인공항문이나 인공요루를 만드는 수술을 합니다.
질암은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수술보다는 방사선치료가 우선하여 선택됩니다. 방사선치료는 고에너지 엑스선을 이용해 암세포를 소멸시킴으로써 종양을 감소시키는 국소 치료법입니다. 단독으로 시행할 수도 있고, 방사선치료의 치료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적은 용량의 항암제를 함께 처방하여 시술할 수도 있습니다. 임신과 출산을 계획 중인 젊은 여성의 경우 수술로 난소의 위치를 방사선치료 범위 밖으로 이동시킨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만든 고에너지의 엑스선이나 전자선을 외부 피부에 조사(쬐어)하여 종양까지 도달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방법입니다. 치료 시 통증은 전혀 없으며, 1회 치료시간은 5분 이내입니다. 전체 치료기간은 치료목적이나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다릅니다.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동위원소를 인체조직 내에 직접 넣어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중심에 라듐이나 세슘과 같은 방사선 물질을 장전한 기구를 질강 내에 삽입하여 조사하는 방법으로, 종양에 직접 접근하여 치료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종양 자체에는 높은 조사량이 도달하는 반면, 주위의 정상조직에는 훨씬 적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므로 부작용이 덜합니다.
항암화학요법은 전신 치료로, 항암제가 혈류를 따라 전신을 돌며 질 벽의 암세포를 포함하여 몸의 존재하는 암세포에 작용합니다.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방사선치료를 병행함으로써 다른 장기로의 전이를 예방하여 더 효과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의 주기는 치료방법이나 병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주로 빈크리스틴(vincristine),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를 이용한 복합 항암화학요법을 사용합니다.
<위 콘텐츠는 대한부인종양학회의 참여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