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은 자궁경부와 외음부의 사이에 있는 원통 모양의 조직으로, 표면에 위치한 점막에서 암이 발생하여 진행하게 되면, 점점 표면으로 퍼지거나 점막 아래, 방광이나 직장 등 주위 장기로까지 퍼지기도 합니다. 질암이란 질에 생기는 원발성 암을 의미하며 매우 드문 질환으로, 그 발생 빈도는 여성 생식기 암의 약 2%를 차지합니다. 자궁경부에서 질로 침윤되거나 전이된 경우는 자궁경부암으로 분류하며 외음부와 질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외음부암으로 분류합니다.
질암의 종류에는 주로 편평상피암과 흑색종, 육종, 선암이 있으며, 가장 흔한 질암은 편평상피암으로 평균 발생연령은 69세 정도이고, 50세 이상에서 약 76%가 발생합니다.
편평상피암은 질암의 80%를 차지하고 질 점막에서 근육층과 방광 및 직장에 직접 침범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40% 정도는 질 상부 1/3의 질 후벽에서 발생하는데, 자궁경부에서 전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질암의 원발성 부위를 알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또한 15% 정도는 질 하부에서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도 원발성 요도 및 외음부암과의 구별이 어렵습니다.
질 편평상피암은 조직학적으로는 케라틴화형이 1/3정도이고, 1/2정도가 비케라틴화형이며, 나머지는 소세포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포 형태 외에도 편평상피암의 중요한 예후인자로는 종양세포의 림프관 및 혈관침범유무가 중요합니다.
흑색종은 색소를 생산하는 멜라닌 세포의 악성 종양으로 어느 곳에서나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상 여성의 3%에 있어서 멜라닌 세포가 질에 존재하며, 이 세포에서 원발성으로 질 흑색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의 악성 흑색종은 아주 희귀한 종양으로서,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는 종양세포의 침범 깊이로 가장 깊이 침범된 두께의 측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육종은 질에 생기는 악성 종양의 약 2%를 차지하며 경계가 명확하고 서서히 자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태아성 횡문근육종은 영아나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고, 평활근육종은 질의 전벽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주로 성인에게서 발생합니다.
선암은 점막의 선(腺)상피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질이나 자궁경부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질 전벽 상부 1/3에서 발견됩니다. 젊은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선암은, 임신 초기에 자연유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여성호르몬 제제인 디에틸스틸베스트롤 (Diethylstilbestrol, DES)을 복용한 임부의 여아 중 소수에게서 발생되었습니다. 이는 태아의 질 생성시기에 본 호르몬이 작용하여 발생학적으로 편평세포로 덮여야 할 질 상피가 선상피로 남아있게 되어 질에 선증이 생기고, 이것이 나중에 발암자극을 받으면서 악성으로 전환된 것입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