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질암

진단 검사의 종류

골반 내진

질 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자궁 및 부속기를 촉진하는 것으로, 내진하여 정상과 다르게 만져지는 부분이 있는지 검사합니다.

자궁경부세포검사

자궁경부세포검사는 자궁경부의 암뿐만 아니라 질의 전암병변과 암의 진단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솔을 이용하여 자궁경부와 질의 표면에서 세포를 채취합니다. 자궁경부세포검사는 질경을 통해 자궁경부를 보면서 세포 채취용 솔로 자궁경부세포와 질의 세포를 채취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도말 또는 액체가 들어 있는 용기에 세포를 담은 후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자궁경부세포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통증이 없으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단점은 위음성률, 즉 병변이 있는 경우에도 정상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30~50%에 달한다는 점입니다.


[골반내진검사 ]

질 확대경검사(Colposcope)

질 확대경검사는 골반 내진이나 질 세포검사에서 이상이 있을 경우 시행합니다. 자궁경부와 질의 비정상 부위를 질 확대경으로 확대하여 필요시 조직을 떼어내어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외래 진료실에서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

조직검사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심이 가는 조직을 떼어 낸 후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하는 병리검사를 말합니다. 질 확대경검사를 통해 조직의 일부를 채취하고 현미경으로 암세포가 있는지, 암세포가 있다면 어떤 종류의 암세포인지를 확인합니다.

영상검사

암이 생긴 부위와 암의 확산 양상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 질뿐만 아니라 골반 내의 다른 장기에 관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은 해부학적으로 방광, 요도 및 직장에 인접해 있으므로 비교적 초기에 이들 장기에 파급(전이)될 수 있습니다. 영상검사로는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이 있습니다.폐로의 전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흉부 엑스선촬영,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 검사도 시행합니다.
이와 같은 영상검사를 거친 후 병기(질암진행정도)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것은 예후판정뿐만 아니라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데도 매우 중요합니다.

<위 콘텐츠는 대한부인종양학회의 참여로 제작되었습니다>

최종수정일 : 2024년 08월 29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