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자궁육종

병기별 치료

1기와 2기의 치료는 전자궁절제술, 양측 자궁 부속기 절제술, 골반 림프절의 수술과 필요에 따라 시행하는 방사선치료입니다. 더불어 복부와 폐에 발생하는 원격전이를 줄이기 위해 수술 후 항암제 치료를 고려합니다. 3기는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제 치료를 혼합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4기는 항암제 치료를 합니다.

치료 방법 종류

수술

자궁육종 치료는 수술만 효과가 증명되었습니다. 전자궁절제술 및 양측 자궁 부속기 절제술이 기본 치료입니다. 자궁과 난관-난소를 절제하고, 골반 속의 림프절과 대동맥 주위의 림프절을 절제하는 근치적 절제술을 합니다. 폐경 전의 자궁평활근 육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양측 자궁 부속기 절제술을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젊은 여성에게서 발생한 육종, 특히 자궁근종 내에 발생한 평활근 육종은 난소를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림프절 절제는 암육종일 때 권유하며 자궁평활 근육종, 자궁내막 간질성 육종 등에서도 최근 FIGO의 병기분류에 림프절 전이여부가 추가되어 실시합니다. 원격 전이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술과 조직 병리 소견에 근거하여 추가적인 방사선치료나 항암 화학요법을 계획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방사선 치료

자궁평활근 육종 환자는 추가 외부 방사선 치료가 생존율뿐 아니라 국소 재발 조절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자궁육종 환자 수가 적어 임상결과에 근거한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술적으로 병기를 정확히 설정하는 것입니다. 만약 수술 전에 근종 등으로 수술하여 병기설정이 정확히 되지 않았다면, 담당의사와 상의하여 정확한 병기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에 따라 추가 치료를 결정합니다. 환자의 수술적 병기 및 전신상태에 따라서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할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

최근에는 독소루비신과 이포마이드가 자궁평활근 육종과 암육종 환자에서 가장 활동적인 약제임이 밝혀졌지만 생존율 향상의 효과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자궁육종에 반응하는 약제는 빈크리스틴(vincristine), 엑티노마이신(actinomycin D),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아드리아마이신(doxorubicin), 다카바진(dimethyl-triazeno-imidazole-carboxamide(DTIC)), 시스플라틴(cisplatin), 이포마이드(ifosfamide)등이지만 화학요법만으로는 완치가 어렵고 보통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와 병용합니다.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혼합

초기 자궁육종 환자들에서 생존율 향상이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분자 타깃 치료

임상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최종수정일 : 2018년 09월 04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