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자궁육종

진단방법

골반 내진

질 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자궁을 촉진하는 것으로, 자궁의 형상과 크기의 변화 등을 확인합니다.


[골반내진검사 ]

자궁경부세포검사(Pap smear)

골반 내진 후 보통 자궁경부세포검사를 실시합니다. 자궁경부세포검사는 세포 채취용 솔로 자궁경부와 질의 세포를 채취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펴 바른 후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자궁경부세포검사

[ 자궁경부세포검사 ]

조직 검사

자궁육종은 자궁의 안쪽에서 발생하는데, 폴립성의 종괴가 자궁경 내막 안이나 밖으로 돌출됩니다. 이 종괴를 검사하기 위해서 자궁경을 통한 내막의 생검이나 자궁내막소파술(자궁 내막을 포함한 자궁강 내의 이상 조직을 긁어내는 것)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해서 얻은 조직을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검사합니다. 그러나 자궁 평활근육종은 조직검사가 어려워 수술 전에 진단이 어려우며, 대개 수술 후 병리조직검사에서 진단됩니다.

영상 검사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초음파검사 등을 이용해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종괴가 자궁근종인지 육종인지 여부는 수술로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영상검사를 통해 암이 주변장기를 침범했는지 또는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는지 예측하며, 수술을 통해 최종적으로 병기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치료방법을 결정합니다.

<위 콘텐츠는 대한부인종양학회의 참여로 제작되었습니다>

최종수정일 : 2024년 08월 29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