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체부암(C54)은 자궁육종과 자궁내막암 등을 포함한 암으로 자궁체부암에 대한 관련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4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22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82,047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자궁체부암은 3,958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4%, 전체 여자에서 발생한 암의 2.9%를 차지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조(粗)발생률(해당 관찰 기간 중 대상 인구 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환자 수. 조사망률도 산출 기준이 동일)은 15.4건입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33.7%로 가장 많았고, 60대 24.8%, 40대 19.3%의 순이었습니다. 조직학적으로는 2022년의 자궁체부암 전체 발생 건수 3,958건 가운데 암종(carcinoma)이 88.3%, 육종(sarcoma)이 2.3%로 90명이 발생하였습니다.
[ 자궁체부암의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발생 빈도, 2022년 자궁체부암 발생 건수 전체 ]
조직학적 형태 Histological group |
발생건수 cases |
% |
1. 암종(Carcinoma) |
3,496 |
88.3 |
1.1 선암(adenocarcinoma) |
3,390 |
85.6 |
1.2 기타 명시된 암(other specified carcinomas) |
40 |
1.0 |
1.3 상세불명암(Unspecified carcinoma) |
66 |
1.7 |
2. 육종(Sarcoma) |
90 |
2.3 |
3. 기타 명시된 악성 신생물 (Other specified malignant neoplasm) |
296 |
7.5 |
4. 상세 불명의 악성 신생물 (Unspecified malignant neoplasm)* |
76 |
1.9 |
총 계 |
3,958 |
100.0 |
<위 콘텐츠는 대한부인종양학회의 참여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