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을 들 수 있으며 환자 각각마다 개별화된 치료가 필요합니다.
외과적인 수술방법으로 비교적 생존율은 매우 증가하였지만 일괄적인 근치적 절제술 후 이에 따른 장기 입원, 근치적 외음부 절제술 후 정신적, 성적 후유증 등 때문에 모든 외음부암 환자의 표준 치료는 수술이 아니며 개별화헤야 합니다. 일차 병변, 서혜 림프절의 전이 여부에 따라 적절한 수술이 결정됩니다.
수술의 목표는 암이나 전암병변의 치료 시에 여성의 성기능이나 장의 기능, 그리고 방광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가능한 많은 정상 조직을 남기는 것입니다.
수술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음부 전체를 절제합니다.
병변을 중심으로 절제합니다.
림프절로의 전이 시 림프절을 제거합니다.
자궁, 질과 함께 직장, 방광까지 제거합니다.
병변의 크기가 2 cm이하이고 서혜부 림프절의 전이가 없을 때 광범위 외음부 절제술을 하거나 광범위 국소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후에 필요에 따라 다른 부위에서 피부 조직판(skin flap)이나 이식(graft)을 하는데 요도 주위의 병변이 크면 봉합으로 요도 탈선이나 소변줄기의 일탈을 일으킬 수 있어 6~8주 정도 새살이 차오를 수 있도록 경과를 관찰합니다. 골반내장 제거술을 실시한 경우에는 인공항문, 인공요로 등의 장루(stoma)를 만들어야 합니다.
방사선치료는 고에너지 방사선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것으로, 외음부암 치료에서 역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진행된 암은 수술 전 병변의 축소를 위해, 수술 후에는 서혜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골반 림프절 치료를 위해 시도합니다. 또한, 수술 후 절단 부위가 병변과 가까우면 국소적 재발 방지를 위해 고려하며 병변이 작고 음핵 주위에 있는 젊은 여성에게 방사선치료를 합니다.
항암화학요법은 항암제를 사용하여 전신에 퍼져있는 암세포에 작용하는 전신치료방법이며, 주로 국소제거 수술이나 방사선치료 전 또는 동시치료로 시행합니다. 또한 원격전이가 있는 재발암에도 사용합니다.
시스플라틴(Cisplatin), 메소트렉세이트(Methotrexate),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미토마이신 C(Mitomycin C) 등을 사용합니다.
과거에는 광범위 외음부 절제술이 표준 치료였으나 현재는 개별화된 치료로 바뀌었고 나이 든 여성에게 광범위 외음부 절제술을 많이 시행합니다. 광범위 국소 절제술은 특히 외음부의 외측이나 후측에 위치한 병변의 치료에 적합하며 젊은 환자의 음핵 주변 병변은 수술적 치료보다 방사선치료를 합니다.
병변이 외음부 후측에 있으면 광범위 국소 절제술을 고려하며 진행된 암이면 광범위 외음부 절제술, 양측 서혜부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또한, 수술 전 방사선치료로 수술 부위를 축소시킬 수 있습니다.
병변을 완전히 제거하려면 광범위 외음부 절제술, 서혜부 림프절 절제술 및 골반내장 제거술이 필요하지만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0 % 정도입니다. 현재는 골반 내장 제거술이 필요한 환자에게 대안으로 수술 전 외부 방사선(항암제 치료 병용) 치료 후 병변을 축소하여 수술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 하지의 주요한 림프계 구조 ]
외음부 림프관의 흐름은 피부에 미세한 유두로부터 시작해서 소음순 전체, 음핵을 덮고 있는 표피, 음순소대와 처녀막까지 이르는 질 점막을 덮고 있습니다.
초기 외음부암에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은 서혜부 절제술을 적절히 시행하는 것입니다. 침윤이 1 mm 이하이면 림프절 절제를 생략해도 되나, 1 mm 이상의 침윤이 있는 모든 환자는 서혜부 림프절 절제술을 받아야 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