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전체암 보기

정의

편도암은 일반적으로 지칭할 때는 용어의 혼란이 있을 수 있어서, 이 부분을 명확히 하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될 듯합니다.

편도암은 넓은 의미로는 비인두, 구인두 부위의 편도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 전부를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보통 ‘편도선’이라고 불리는 구개편도 부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의미합니다. 비인두암, 구인두암은 각각 비인두, 구인두 부위에 발생한 악성종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인두암, 구인두암, 편도암은 경우에 따라 같은 종양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여서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편도암’을 구인두에 있는 부위인 구개편도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국한하여 정의하고 이에 대해 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인두암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본 암정보서비스의 ‘인두암’ 부분을 아울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정상편도와 편도암의 비교]

종류

편도 부위에는 병리조직학적으로 여러 종류의 세포가 모여 있습니다. 편도조직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에서 종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표층(表層)은 편평상피로 덮여 있는데, 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편평상피세포종이 가장 흔합니다(약 80%). 그 외에도 편도에 정상적으로 분포하는 림프조직(림프종), 소타액선(타액선암), 신경혈관구조 등에서 각각 종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편평상피세포암종은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라 고분화암, 중등도분화암, 저분화암으로 분류됩니다. 저분화암일수록 종양의 성장속도가 빠르고 주변조직으로의 침습, 전이 등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최종수정일 : 2019년 05월 02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