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악성 흑색종

진행단계

다음은 미국합동암위원회(AJCC)에서 종양의 두께와 조직 침범정도를 기준으로 흑색종진행단계를 4단계로 분류한 것입니다. (Breslow의 분류법 1970)

[ 악성흑색종 - 미국합동암위원회(AJCC)의 병기체계 ]

[ 악성흑색종 - 미국합동암위원회(AJCC)의 병기체계 ]
병 기 진 행 정 도
1기 국소적으로 침윤된 상태로
1) 종양의 두께가 0.75mm 이하인 것 또는 유두 진피에까지 침범된 상태
2) 종양의 두께가 0.75mm ~ 1.5mm 이거나 또는 표재 혈관층까지 침범된 상태
2기 국소적으로 침윤된 상태로
1) 종양의 두께가 1.5mm ~ 4.0mm 이거나 망상 진피에까지 침범된 상태
2) 종양의 두께가 4.0mm 이상이거나 피하 지방층까지 침범된 상태
3기 국소 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로
1) 1개의 국소 림프절로 전이한 경우.
2) 림프절 전이가 없는 5개 미만의 변화되는 과정 중인 전이의 경우
4기 국소 림프절 침윤 또는 원격 전이된 상태

 

참고>
  1. 1기와 2기에서 예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병변의 두께와 궤양의 유무입니다. 궤양이 있을 경우 병기가 더 진행한 것으로 봅니다. 
  2. 3기에서 예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전이된 림프절의 수입니다.
    림프절이 밖에서 만져질 경우 병기가 더 진행한 것으로 봅니다.
  3. 4기에서 예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전이된 병소의 수와 전이된 장기의 위치입니다. 피부나 피하 조직보다 내부 장기로 전이되었을 경우 예후가 더 좋지 않습니다.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