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식도암

발생부위

식도는 인두와 위를 연결하는 기관으로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이 위장으로 넘어가는 통로로서 관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식도의 길이는 약 24cm ~ 33cm 정도이고, 너비는 2~3cm 이며, 식도 벽의 두께는 약 4mm 정도입니다.

식도의 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치에 따라 경부식도, 흉부식도, 복강내 식도로 나눕니다.

식도의 위치 - 앞니에서 거리(15cm), 경부식도(3~5cm), 흉부식도(18~22cm), 복강내 식도(3~6cm)

[ 식도의 위치 ]

식도는 흉강 내에서 척추의 앞쪽, 기관과 심장의 뒤쪽, 대동맥의 옆쪽, 양쪽 폐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식도는 인두에서 삼킨 음식물을 연하운동 및 연동운동으로 위장으로 내려 보내는 기능이 있으며, 식도와 위 사이에는 괄약근이 있어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식도로 다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복강내 장기는 장막이라고 불리는 막이 장기의 외벽을 둘러싸고 있으나 식도에는 장막이 없어 암이 발생하는 경우 비교적 쉽게 식도의 외벽을 뚫고 주위 장기를 침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도의 점막하층에는 림프관과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어 암세포가 림프관이나 혈관을 타고 식도주위의 림프절전이되거나 원격전이가 되기 쉽습니다.

식도의 벽은 쉽게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암이 발생하더라도 식도협착에 의한 증세, 즉 연하곤란이나 연하통 등의 증상이 늦게 나타나서 진단이 늦어질 수 있으며, 진단 당시에 이미 암이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식도의 주위에는 심장, 기관지, 폐, 대동맥 등의 중요한 장기들이 많고, 식도 자체가 목, 가슴 배에 걸쳐 있으며, 식도 절제시 식도의 대체 장기로 복부의 소화관인 위장, 소장(공장), 또는 대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술의 범위가 넓고 수술에 따르는 위험성이 큽니다.

[ 식도의 위치와 구조 영상 ]

식도의 위치와 구조 식도는 인두와 위를 연결하는 기관으로 입으로 섭취한 음식물을 위까지 내려보내는 통로 역할을 하는데 식도와 위 사이에는 괄약근이 있어서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식도는 위치에 따라 목부위에 위치하는 경부식도 가슴 부위에 위치하는 흉부식도 그리고 횡격막 아래의 복강내식도로 구분됩니다. 흉강 내에서 식도는 척추의 앞쪽을 따라 내려가는데 식도의 앞쪽으로는 기관과 심장이 옆쪽으로는 대동맥이 그리고 식도의 좌우에는 양쪽 폐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식도 주위에는 다양한 주요 장기들이 위치하고 식도 자체가 목, 가슴, 배 부위에 걸쳐있으며 식도를 절제할 때 복부의 소화관을 대체 장기로 이용하기 때문에 수술의 범위가 넓고 수술에 따르는 위험성이 큽니다.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