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소장암

식생활

일반적으로 수술 후 남은 소장의 길이가 200cm 이상이라면 영양 흡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소장암으로 수술 받은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상적인 식생활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절제 범위가 넓어서 남은 소장의 길이가 길지 않거나, 우회술을 시행하여 섭취한 음식이 소장의 일부만을 지나간다면 흡수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흡수 장애가 생기는 원인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표면적이 감소하고, 음식물의 장 통과 시간이 빨라지며, 장 내 담즙염의 농도가 변화하는 데다 세균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증상을 단장(短腸) 증후군(short bowel syndrome)이라고 부릅니다.

공장의 일부만 절제하였다면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담즙염이나 비타민 B12가 회장 말단부에서 흡수되므로 수술 후 적응에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설령 남은 공장의 길이가 100cm 이하라 하더라도 소장에서 흡수되지 못한 탄수화물은 대장의 세균에 의해 지방산으로 변화된 뒤 대장에서 흡수되므로 열량과 수분의 흡수에 큰 지장이 없습니다.

하지만 회장을 절제하였다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흡수 장애로 인해 영양 상태의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회장을 100cm 이하로 절제하면 흡수되지 않은 담즙산염에 의해 결장에서 수분과 전해질의 흡수가 감소하여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담즙산염과 결합하는 약제를 처방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광범위하게 회장을 절제했을 때는 지방의 흡수율이 떨어지는데, 장으로 흡수되지 못한 지방이 칼슘이나 마그네슘과 결합하면서 무기질의 결핍을 초래되고, 수산(옥살산, oxalic acid)의 농도가 상승하여 신결석의 원인이 됩니다.

단장증후군이 생긴 경우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면 적응 과정에 들어갑니다. 이러한 적응 과정에는 보통 3개월 정도가 소요되지만, 때로 1년 이상 걸릴 수도 있습니다. 적응 기간 동안에는 소량씩 하루 5~6회로 나누어서 식사를 합니다. 초기에는 지방량을 제한하며, 유당의 소화가 안 될 수 있으므로 유제품(우유 등)의 섭취를 제한합니다. 지방과 함께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도 떨어지므로, 복합 비타민과 무기질을 투약하기도 합니다. 하루 500~1000mg의 칼슘 보충을 권장하며, 비타민 B12는 먹는 것으로는 흡수가 안 되므로 주사로 맞습니다.

신결석의 예방을 위해 수산이 많이 든 음식 섭취를 줄이고, 체내에서 수산으로 변화하는 비타민 C의 투여는 피하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수산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시금치, 셀러리, 땅콩, 초콜릿, 차(tea), 딸기 등이 있습니다.

영양은 암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치료 전, 치료기간 동안, 그리고 치료 후 올바른 음식섭취는 기분을 좋게 하고 강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따라서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들이 암 치료를 잘 받기 위한 준비를 하고 치료에 다른 부작용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어떻게 먹을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암환자 식생활 바로가기

최종수정일 : 2015년 07월 16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