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모세포종으로 진단되면 안구 내 종양의 병기를 전신 마취 하 검안경 검사로 평가해야 하며 이 때 반대편 안구도 검사해서 양측성이 아닌지를 평가해야 합니다. 안구 내 병기의 평가 지표로는 종양의 방사선 치료 후 시력 보존 가능성의 지표로 고안된 Reese-Ellsworth(리즈와 앨리워스) 병기 분류법과 화학 요법 후 국소 치료의 성공률을 예측하기 위해 고안된 국제 병기 분류법(International Classification Syste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Reese-Ellsworth(리즈와 앨스워스) 병기 분류법 ]
Ⅰ군 매우 양호 (Very favorable) |
A |
단일 종양이면서 크기가 disc 지름 1) 의 4배 이하이고 종양이 안구의 적도 후반부에 위치할 때 |
---|---|---|
B |
다발성 종양이면서 가장 큰 종양의 크기가 disc 지름의 4배 이하이고 안구의 적도 후반부에 위치할 때 |
|
Ⅱ군 양호 (favorable) |
A |
단일 종양이면서 크기가 disc 지름의 4-10배이고 종양이 안구의 적도 후반부에 위치할 때 |
B |
다발성 종양이면서 가장 큰 종양의 크기가 disc 지름의 4-10배이고 종양이 안구의 적도 후반 부에 위치할 때 |
|
Ⅲ군 보통 (Doubtful) |
A |
크기, 수에 상관없이 안구의 적도 전반부에 존재할 때 |
B |
단일 종양으로 종양이 안구 적도 후반부에 존재하나 크기가 disc 지름의 10배 이상인 단일 종양일 때 |
|
Ⅳ군 불량 (Unfavorable) |
A |
다발성 종양이면서 가장 큰 종양의 크기가 disc 지름의 10배 이상일 때 |
B |
크기, 수에 상관없이 종양이 안구 전반부의 거상연(ora serrata)까지 이를 때 |
|
Ⅴ군 매우 불량 (Very Unfavorable) |
A |
종양이 망막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때 |
B |
종양이 유리체로 퍼져있을 때 |
1) disc 지름 : 환자의 시신경 유두 지름을 뜻함
[ 국제 병기 분류법(International Classifocation System) ]
A군 |
황반과 disc에 인접하지 않는 작은 망막 내 종양 |
---|---|
B군 |
그 외의 모든 망막에 국한된 경계가 분명한(discrete) 종양 |
C군 |
최소한의 망막 하 혹은 유리체 내 종양 침범을 가진 경계가 분명한 국소 종양 |
D군 |
현저한 망막 하 혹은 초자체 내 종양 침범을 가진 미만성 종양 |
E군 |
다음 기술한 예후 불량 요인을 하나 이상 가진 경우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