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라이(Rai) 병기분류와 유럽에서 주로 사용하는 비넷(Binet) 병기분류가 있습니다. 저위험군은 혈액 내 림프구 수만 증가되고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는 없으며 중간 위험군은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림프절이 커지거나, 왼쪽 윗배에서 비장이 만져질 수도 있습니다. T세포성 백혈병인 경우에는 피부과 중추신경으로 전이하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고위험군은 혈액검사에서 빈혈이 있거나 혈소판이 떨어지는데 이런 경우에는 병이 빠르게 진행되어 경과가 좋지 않습니다.
[ 만성림프구성백혈병의 병기 ]
원발 종양(T) | 임상증상 | 생존기간 중앙값 (년) |
라이 분류 | ||
O: 저위험군 | 말초혈액과 골수에서 림프구 증가 | >10 |
I : 중위험도 | 림프구증가 + 림프절병증 | 7 |
II: 중위험도 | 림프구증가 + 비종대 ± 간종대 | |
III: 고위험도 | 림프구증가 + 빈혈 | 1.5 |
IV: 고위험도 | 림프절종대 + 혈소판 감소증 | |
비넷 분류 | ||
A | 림프구증가 + 림프절병증 3부위 이하 | >10 |
B | 림프구증가 + 림프절병증 3부위 이상 | 7 |
C | B +빈혈 또는 혈소판 감소증 | 2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