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다발골수종

개요

항암화학요법이나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 등의 치료과정에서 정상 세포들이 손상되어 여러 가지 합병증을 초래하게 됩니다.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작용항암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같은 항암제를 같은 용량으로 투여하더라도 환자에 따라 부작용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면역저하로 인한 감염, 빈혈, 출혈, 위장관 기능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입안의 통증, 오심구토, 설사, 변비, 그리고 모낭세포의 손상으로 인한 탈모 등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성기능의 장애, 피부의 반점, 손톱 모양의 변화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부작용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부작용으로는 면역 반응의 일종인 이식편대숙주병(Graft-versus-host disease, GVHD)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은 이식 후 1~3개월 이내에 발병하며, 기증자의 골수 내 면역세포가 환자의 세포를 공격하여 피부, 간, 위장관 등 여러 조직 혹은 장기에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나타나는 증상은 피부발진·홍반·가려움증·황달 및 간수치 이상, 메스꺼움·구토·복통 또는 설사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면역억제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또한 후기 합병증으로는 피부 병변 및 구강점막 장애, 안구 건조증, 및 폐섬유화증 등이 있으며 드물지만 이식 전처치로 투여된 항암 및 방사선 처치로 인한 이차성 악성종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상기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 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망하거나 전신상태가 매우 악화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담당의와 상의하여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방사선치료 부작용

방사선치료 부작용은 방사선이 적용된 특정 부위나 범위, 조사된 방사선의 양,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치료 후에 몇 주 내에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사선이 조사된 부위 피부의 발적, 색소 침착, 붓는 증세나 위장관 장애, 비뇨기 장애, 생식기 장애, 탈모, 피로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나 이는 치료가 끝나면 회복될 수 있습니다.

최종수정일 : 2020년 09월 24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