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다발골수종

다발골수종의 치료현황

2024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8-2022년의 다발골수의 5년 상대생존율은 남녀 전체 51.3%로 보고되었으며, 남자가 52.2%, 여자가 50.3%였습니다. 다발골수종의 5년 상대생존율1)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발골수종의 5년 상대생존율 추이 ]

다발골수종

1993-1995년

1996-2000년

2001-2005년

2006-2010년

2011-2015년

2016-2020년

2018-2022년

남녀전체

23.7%

21.1%

29.8%

35.1%

41.7%

50.4%

51.3%

23.4%

19.2%

30.0%

35.5%

41.2%

50.6%

52.2%

24.1%

23.3%

29.7%

34.8%

42.3%

50.1%

50.3%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4년 12월 발표 자료>

한편, 미국국립암연구소에서는 SEER(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프로그램을 통해 "요약병기(Summary Stage)"라는 병기 분류를 개발했습니다. 요약병기는 암이 그 원발 부위로부터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범주화2) 한 기본적인 분류 방법으로 그 병기 분류에 따른 5년 상대생존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발골수종의 요약병기별 5년(2018-2022년) 상대생존율 추이2) ]

다발골수종

국한(Localized)

국소(Regional)

원격(Distant)

모름(Unknown)

남녀 전체

82.1%

-

50.7%

55.2%

79.7%

-

51.6%

56.0%

85.5%

-

49.7%

54.1%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4 12월 발표 자료>



------------------------------------------------------------------------------------------------------------------
1년 상대생존율: 해당 기간 중 발생한 암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을 추정한 것으로, 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했을 경우의 효과를 보정하기 위하여 관찰생존율을 일반 인구의 기대생존율로 나누어 구한 값.

2요약병기에 따르면 암의 범주를 국한(Localized), 국소(Regional), 원격(Distant), 모름(Unknown)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국한(Localized): 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음/ *국소(Regional): 암이 발생한 장기 외 주위 장기, 인접 조직, 또는 림프절을 침범/ *원격(Distant): 암이 발생한 장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 전이/ *모름(Unknown): 병기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최종수정일 : 2025년 02월 17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