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부위의 암과 마찬가지로 원발부위(T), 목의 림프절전이(N), 원격전이(M) 병기가 환자의 예후와 가장 연관성이 높습니다. 이 TNM 병기에 따라 최종적인 임상병기가 초기인 1기부터 진행병기인 4기까지 나뉘게 됩니다.
원발 부위에 의한 T병기는 종양의 크기뿐 아니라 인두 각 부위의 특성을 반영합니다. 하인두의 경우는 후두와 붙어있기 때문에 성대마비의 동반 여부가 병기결정에 매우 중요한 인자입니다.
p16- 구인두암 및 하인두암의 병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복잡한 병기체계로 인한 오해를 줄이고자, 수술 후에만 확인가능한 병리학적인 림프절 전이(pN) 병기는 제외하였습니다.
[ 구인두-하인두암(HPV 비관련) 병기 (AJCC 8th) ]
TNM 병기 |
정 의 |
|
원발부위(T병기) |
T1 |
종양의 크기가 2cm이하인 경우 |
T2 |
종양의 크기가 2cm보다 크고, 4cm이하인 경우 |
|
T3 |
종양의 크기가 4cm보다 큰 경우 |
|
T4a |
종양이 편도 외의 후두, 혀의 심부근육, 경구개, 하악골 등의 주변 구조를 침범한 경우 |
|
T4b |
종양이 비인두, 두개저를 침범했거나 경동맥을 주위까지 침범한 경우 |
|
임상적 림프절병기(cN병기) |
N0 |
경부림프절전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
N1 |
병변측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있고, 크기가 3cm이하인 경우 |
|
N2a |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있고 크기가 3cm보다 크고, 6cm 이하인 경우 |
|
N2b |
경부림프절 전이가 병변 측에 여러 개 있고, 모두 크기가 6cm 이하인 경우 |
|
N2c |
경부림프절 전이가 병변 반대측에도 발견되고, 모두 크기가 6cm 이하인 경우 |
|
N3a |
6cm보다 큰 경부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
N3b |
림프절 주변 조직 침습(extranodal extension)이 관찰된 림프절 전이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
|
원발전이병기(M병기) |
M0 |
원발전이가 없는 경우 |
M1 |
원발전이가 있는 경우 |
[ 구인두-하인두암(HPV 비관련) 병기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