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구인두-하인두암(HPV 비관련)

정의

인두는 두경부(머리와 목)의 한 부분으로 숨을 쉴 때 공기의 통로가 되고, 음식물을 섭취할 때 구강(입)에서 내려온 음식물이 식도로 내려가는 중간 통로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인두 부위의 점막에서 악성종양(암)이 발생하는 경우에 인두암이라고 합니다.

인두암은 후두암이나 구강암 등 다른 부위의 두경부암과 마찬가지로 주로 점막부위(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므로 대부분 편평상피세포암의 조직학적 형태를 보입니다.

각 부위(비인두, 구인두, 하인두)에서 주로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서로 다른 발생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치료법도 크게 달라, 넓은 인두 부위에 발생하는 암의 양상과 치료는 일반화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 여부에 따른 분류체계가 일반화되고 있어, 본 안내에서는 비인두암 및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의 대리표시자인 p16 단백질 양성인 구인두암과 편도암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습니다.

인두의 각 부위에서 발생하는 종양 - 비인두암, 구인두암(편도암, 혀뿌리암), 하인두암

[ 인두의 각 부위에서 발생하는 종양 ]

종류

구인두와 하인두의 암은 대부분 편평상피세포암이며 부위에 따라 소타액선암이나 림프종, 선암종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9년 08월 02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