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직장 신경내분비종양

직장 신경내분비종양 치료의 부작용

신경내분비종양국소절제술시에 사용되는 캡(cap)을 이용한 점막절제술(EMR with cap), 점막하박리술(ESD), 항문을 통한 내시경 미세수술(TEM, transanal endoscopic microsurgery) 등은 모두 출혈이나 천공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합병증 관찰을 위해 시술 후 1-2일 입원하며 경과를 관찰합니다. 출혈이 생긴 경우에는 대부분 내시경을 통해 치료 가능하고, 천공이 생긴 경우에는 금식이나 항생제 등의 보존적인 방법을 통해 치료되는데 매우 드물게 수술이나 다른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퇴원 후에도 일정 시기 동안은 무리한 운동이나 음주를 삼가고, 아스피린 등의 약 복용을 중지해야 합니다.

수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의 부작용으로 폐합병증, 문합부 누출, 장폐색, 출혈, 상처가 잘 아물지 않거나 곪는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심호흡, 기침, 가래 뱉어내기 등이 도움이 되며, 장폐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다음날부터 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걷는 운동을 시작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술 후에 배뇨장애 및 성기능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배뇨장애 및 성기능 장애는 수술 시 암이 배뇨와 성기능에 관여하는 신경에 침범되어 있거나 이에 아주 근접한 경우 불가피하게 신경을 같이 절제해서 혹은 신경을 절제하지 않더라도 암 절제 수술로 인해 신경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수술 후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장의 일부 또는 거의 대부분을 절제한 경우에는 대변을 저장했다가 모아서 배출하는 직장이 없어져서 수술 후 변을 아주 자주 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하루에 30~40번 배변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증상은 항문으로부터 암이 떨어졌던 거리와 직장을 얼마만큼 절제했는지에 따라 심하거나 덜하거나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나아져 대개 수술 후 6개월이면 크게 호전되고 그 이후 약 2년까지 서서히 호전됩니다.

최종수정일 : 2020년 1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