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전이성 뇌종양

진단방법

원발성 암이 있는 환자에게 임상증상이 발현되고, 방사선학적인 검사에서 뇌병변이 확인되면 전이종양의 진단은 어렵지 않습니다. 원발성 암이 있는 환자에게 천막상부에 단발성 병변이 있는 경우에 89~93 %는 전이성 뇌종양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암에 대한 병력이 없고 단발성 뇌병변이라면 약 15 %는 전이성 뇌종양으로 확진받습니다. 이 때 병력, 신체검진과 더불어 흉부방사선 및 단층 촬영, 기관지 내시경, 복부 단층 촬영, 객담세포진단 검사, 대변검사, 신장정밀 검사와 종양표식자 검사 등을 실시해서 원발 종양을 찾아야 합니다.

자기공명 단층촬영(MRI)

자기공명영상(MRI)는 뇌전이가 의심되는 환자에 대한 가장 적절한 검사 방법입니다.

자기공명영상(MRI) 소견으로는 전이성 뇌종양의 특징인 다발성이면서도 현저한 혈관성 부종종괴효과를 동반하며, 병변은 원형이고 뇌의 주변부 즉 회백질경계부에 있습니다. 종괴가 크면 중심부에 괴사를 동반하며 종괴의 주변부만 대조 강화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MRI상 한명의 환자에서 같은 시기에 발견한 다발성 전이성 뇌종양]

[ [MRI상 한명의 환자에서 같은 시기에 발견한 다발성 전이성 뇌종양] ]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

전신에서 발생한 발암을 찾는데 용이합니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이용한 다발성 폐암의 진단]

[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이용한 다발성 폐암의 진단] ]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이용한 전이성 뇌종양의 진단]

[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이용한 전이성 뇌종양의 진단] ]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에 비해 두개골 침범 및 석회화 영상이 우수하고 자기공명영상(MRI)에 비해 촬영 시간이 짧습니다.

[CT상 전이성 뇌종양]

[ [CT상 전이성 뇌종양] ]

최종수정일 : 2021년 01월 29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