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육종

연부조직 육종

저등급 육종의 무병 생존 환자에게서 국소 재발을 발견하기 위해 최소 10년간 추시관찰이 필요하며, 고등급 육종의 무병 생존 환자에게선 국소 재발과 전이를 발견하기 위해 적어도 5년간 추시 관찰이 필요한데, 이는 고등급 육종은 수술 이후 첫 2~5년 사이에 원격 전이의 발생률이 높은 반면, 저등급 육종은 재발 발생 속도가 느리기 때문입니다.

지방육종(脂肪肉腫, Liposarcoma)

종양분화 정도에 따라서 전이율이 다르며, 폐로의 전이가 가장 흔합니다.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연부조직 범위와 종양의 골 침범 정도를 알기 위해서 자기공명영상(MRI)검사가 유용합니다. 폐의 전이에 대해서 알 수 있는 흉부 방사선사진과 전산화단층촬영(CT)은 종양의 병기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원격 전이는 진단 당시 3~10%로 보고되며 대부분 폐로 전이됩니다.
국소 재발은 10~40%로 보고되고 진단 후 2~3년에 잘 일어납니다.

섬유 육종(Fibrosarcoma)

세포의 이형성, 종양의 크기, 발생위치에 따라 다르나 재발률은 50%를 넘고 진단 당시 약 25%가 전이된 상태입니다.

상피양 육종(Epithelioid Sarcoma)

국소 재발이 흔하고 폐나 주위 림프절로 전이되는 수가 많습니다.

뼈에서 발생되는 육종

유잉 육종(Ewing`s Sarcoma)

주로 폐와 다른 뼈로 전이를 잘하나 국소부위 또는 림프절 전이는 드뭅니다.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전이는 대개 2년 이내에 주로 폐나 다른 골 부위에 발생하며 주변 림프선으로의 전이는 드뭅니다.

섬유육종(Fibrosarcoma)

국소 림프절 전이는 그리 많지 않으며 원격 전이가 빈번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9년 04월 16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