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육종

병기 결정

골연부 종양에서 병기의 결정은 병의 시기를 확실히 함으로써 예후를 예측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치료센터에서 치료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에네킹(Enneking) 등은 근골격계 종양의 임상 병기(staging system)를 발표하였는데, 이를 수술 병기(surgical staging)라 명명하였습니다. 이는 조직학적 악성정도(G: histologic grade), 해부학적 위치(T: anatomical site), 원격 전이의 유무(M: presence or absence of distant metastasis)로 분류하였습니다. 조직학적 악성 정도는 저악성도(Grade I)와 고악성도(Grade II)로 나누었는데, 저악성도는 원격 전이의 확률이 25% 이하이며, 조직학적으로 분화가 잘 되어있고(well differentiated), 몇 개 정도의 유사분열(mitosis)이 있는 것을 말하며, 고악성도는 원격 전이의 확률이 높고, 세포/기질 비율(cell/matrix ratio)이 높으며, 괴사가 있고, 현미경적 침윤(microinvasion)이 있는 것으로 구분하였습니다.

해부학적 위치(T)는 구획내(intracompartmental)와 구획외(extracompartmental)로 구분하였는데, 구획은 종양의 파급에 방어벽(barrier)으로 작용하는 해부학적인 구조를 뜻합니다. 여기에는 골피질(cortex), 골막, 관절연골, 건막(facial septa), 건기시부(tendon origin), 근육 등이 방어벽으로 작용합니다.

AJCC 병기에서는 악성 골종양이 발생한 뼈에서 연속되지 않은 또 다른 병변, 즉 도약병변(skip lesion)이 있는 경우 III기로 분류하고,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IV기로 분류합니다. IV기는 보다 세분화하여 폐전이만 있을 경우 IVA, 림프절 전이가 있거나 폐 이외의 장기로 원격전이가 있을 경우 IVB로 분류합니다. 어떤 병기를 사용하든 IA, IB, IIA, IIB 의 순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진행된 병기를 의미합니다.

이상을 종합한 아래의 표는 미국 및 유럽 근골격계 종양학회(AMSTS, EMSOS) 및 국제사지보존학회(International Symposium of Limb Salvage, ISOLS)에서 권장하는 분류법입니다.

[ Surgical stages for malignant musculoskeletal tumors (Enneking, 1983) ]

[ Surgical stages for malignant musculoskeletal tumors (Enneking, 1983) ]
Stage Grade Site Metastases
IA Low (G1) Intracompartmental (T1) None(M0)
B Low (G1) Extracompartmental (T2) None(M0)
IIA High (G2) Intracompartmental (T1) None(M0)
B High (G2) Extracompartmental (T2) None(M0)
III Low or High (G1-2) Intra or Extra comp. (T1-2) Regional or Distant(M1)

[ 악성 골종양의 AJCC 병기 체계 ]

[ 악성 골종양의 AJCC 병기 체계 ]
병기 조직 악성도(G) 해부학적 위치(T) 원격 전이(M)
IA 저악성도(low grade) T1(최대직경 8cm이하) 원격 전이 없음
IB T2(최대직경 8cm이상)
IIA 고악성도(high grade) T1(최대직경 8cm이하)
IIB T2(최대직경 8cm이상)
III 조직 악성도와 관계없음 T3(원발부위내 도약병변)
IVA 해부학적 위치와 관계없음 폐전이
IVB 해부학적 위치와 관계없음 림프절 또는 폐 이외 장기전이

[ 연부 육종의 AJCC GTMN 분류 ]

[ 연부 육종의 AJCC GTMN 분류 ]
병기 종양분화도 원발 종양 크기 국소전이 원전이
IA G1 T1 N0 M0
IB G1 T2 N0 M0
IIA G2 T1 N0 M0
IIB G2 T2 N0 M0
IIIA G3 T1 N0 M0
IIIB G3 T2 N0 M0
IVA Any G Any T N1 M0
IVB Any G Any T Any N M1

[ GTMN 병기 체계 ]

[ GTMN 병기 체계 ]
G-종양 분화도 T-원발 종양 크기 N-국소 임파선 침윤 M-원격 전이
G1 : 고분화
G2 : 저분화
G3 : 미분화
T1 : 5cm 미만
T2 : 5cm 이상
N0 : 국소 침윤 없음
N1 : 국소 침윤 없음
M0 : 원격 전이 없음
M1 : 원격 전이 있음

연부육종과 육종양(sarcoma like growth) 성장을 보이는 다양한 분류가 무려 50가지 이상의 많은 아형(subtype)을 가지고 있는 만큼 병의 위험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어떤 환자들에 있어서는 수술적 제거만으로 완치가 가능한 반면 어떤 종류의 것은 크고 공격적이어서 항암화학요법방사선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뼈에서 발생되는 육종

원발성 악성 골종양의 특징은 조기에 주로 혈류를 통해서 전이를 한다는 것인데, 주로 폐나 타부위 뼈로 전이됩니다. 최근 방사선학적인 진단 방법의 발달과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의 발달에 의해 치료 결과가 크게 호전되고 있습니다. 수술 방법에 있어서도 과거에는 절단술 내지는 관절 이단술 등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극히 제한된 경우에만 이러한 수술이 시행되며 대부분의 경우 사지의 기능을 보존하면서 종양을 적출하는 사지 보존술(Limb salvage operation)이 보편화되는 추세입니다.

최종수정일 : 2019년 04월 16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