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요도암

정의

요도암이란 요도에 발생하는 암으로, 크게 방광과 음경을 포함하는 다른 요로생식기 암에 대한 과거력이 없으면서 요도에 처음 발생한 ‘원발성 요도암’과 방광암 등의 요로생식기암이 요도에 재발한 ‘재발성 요도암’으로 나눕니다. 재발성 요도암의 경우에는 방광암 등의 원발성 암의 특성에 따라 치료를 결정하게 되므로 이곳에서는 원발성 요도암에 국한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종류

요도를 덮고 있는 상피세포의 조직학적 종류에 따라 이행세포암, 편평세포암 그리고 선암 등의 형태로 분류하며, 그 밖에 미분화암, 육종, 림프종흑색종도 드물게 발생합니다.

여성의 경우, 병변의 발생 부위에 따라 ‘몸쪽 요도’와 ‘먼쪽 요도’에서 비슷한 빈도로 병변이 발생합니다. 조직학적 분류로 살펴보면 편평세포암종이 60%로 가장 흔하고, 이행세포암종과 선암종은 각각 15%를 차지하며, 선암종은 주로 요도곁주머니에서 발생합니다.

남성의 경우 망울요도와 막요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60%로 가장 흔하고, 30%는 음경요도에서, 10%는 전립선요도에서 발생합니다. 전립선요도에서 원발성 요도암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주로 이행세포암이나 선암이 발생합니다. 암의 발생빈도는 편평세포암종이 80%, 이행세포암종이 15%이며, 5%는 선암종이나 미분화암, 림프종, 육종, 흑색종 등입니다.

편평세포암

가장 흔한 형태로 여성에게서는 요도 입구 근처인 앞요도에서 발생하며, 남성에게서는 음경요도에서 발생합니다.

이행세포암

여성에게서는 방광에 가까운 뒤요도, 남성에게서는 전립선을 통과하는 전립선요도에서 발생합니다.

선암

요도에 존재하는 분비선에서 발생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4년 03월 13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