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치료현황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치료에 있어서 성인의 70~90% 환자에게서 항암화학요법으로 완전 관해가 유도되며 완치율도 20~35%입니다.
1차 관해에 이른 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 환자의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의 완치율은 35%,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완치율은 형제간 50~60%, 타인간 40~50% 정도이며, 2차 관해기 이상 진행된 상태에서 시행된 조혈모세포이식의 완치율은 10~30%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필라델피아 염색체 〔t(9;22)〕 양성인 환자의 경우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완치율이 10% 미만이지만 동종조 혈모세포이식을 했을 경우 성적은 장기무병 생존율이 40-60%정도입니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과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경우 완전 관해 이후에 뇌척수 재발 방지 치료로 척수강 내에 항암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하는 점, 그리고 항암화학요법 단독으로 관해 후 치료를 하는 경우 공고요법 후에 유지요법으로 약 2년간 항암제를 복용하는 점입니다.

무병생존율, 이식 후 기간(년), 첫 번 관해서 이식, 두 번째 관해서 이식, 제발 당시 이식

[ 동종 이식을 받은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성적 ]

도표설명; 동종 이식을 받은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성적입니다, 1차 관해에 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의 성적이 이차 관해나 재발 당시에 이식을 시행한 환자의 장기 무병생존율 보다 높습니다.
(자료; Bio Blood Marrow Transplant, 2003)

생존율, 이식 후 기간(년), 전체 생존율, 무병 생존율

[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동종 이식을 받은 고위험군의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성적 ]

도표 설명;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동종 이식을 받은 고위험군의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성적입니다. 전체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자료; Thomas'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3rd ed. Blackwell publishing)

2022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6년~2020년 간의 백혈병(C91-C95)의 5년 상대생존율은 55.2%(남자가 54.8%, 여자가 55.6%)이였습니다.

백혈병의 5년 상대생존율1) 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백혈병의 5년 상대생존율 추이 ]

백혈병

1993-1995년

1996-2000년

2001-2005년

2006-2010년

2011-2015년

2016-2020년

남녀 전체

27.5%

34.3%

42.0%

47.7%

52.0%

55.2%

27.3%

33.3%

41.8%

46.9%

52.2%

54.8%

27.9%

35.5%

42.1%

48.7%

51.7%

55.6%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2년 12월 발표 자료>

--------------------------------------------------------------------------------------------------

15년 상대생존율: 해당 기간 중 발생한 암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을 추정한 것으로, 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했을 경우의 효과를 보정하기 위하여 관찰생존율을 일반 인구의 기대생존율로 나누어 구한 값

최종수정일 : 2023년 02월 07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