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급성 림프구성백혈병

개요

대부분은 암 발생의 원인을 모르며 유전적 소인, 바이러스 감염, 흡연, 방사선 조사, 화학 약품 등에 대한 직업성 노출, 그리고 항암제 등의 치료 약제가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하여 암유전자가 직접 또는 인접 부위 유전자들의 변화에 따라 활성화되면 백혈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유전적 소인

• 21번 염색체의 상염색체를 특징으로 하는 다운증후군
• 클라인펠터 증후군, 파타우 증후군
판코니증후군, 블룸증후군, 혈관확장성 운동실조

방사선 조사

• 원자폭탄이 투하되었던 지역에서의 급성백혈병의 발생 빈도가 10~15배 가량 높게 나타났습니다.
  (일본 히로시마 원폭 피해,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예)
• 어렸을 때 고에너지의 방사선에 노출된 경우 T세포 계열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화학약품과 직업성 노출

• 벤젠은 유전자 손상을 불러와 백혈병으로 진전될 수 있습니다.
• 페인트, 방부제, 담배, 제초제, 살충제, 전자장 노출이 백혈병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암제 등 치료 약제

항암제, 특히 알킬화제들은 염색체 손상을 일으켜 이차성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 멜팔란, 부설판, 프로카바진, 에토포사이드,독소루비신 등)

바이러스

EBV(엡스타인-바 바이러스)나 HTLV-1(인간 T-세포 림프친화성 바이러스 1형)같은 바이러스 감염은 골수세포 내의 염색체에 손상을 주고 면역 체계의 이상을 초래하여 백혈병을 일으킵니다.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에 의한 후천성면역결핍증도 림프구성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