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급성 림프구성백혈병

발생부위

백혈구는 골수구 세포와 림프구 세포로 나뉩니다. 골수구 세포는 호중구, 호염구, 호산구로 나뉘는데, 전체 백혈구의 50~60 %를 차지하고 림프구 세포는 35~45 %를 차지합니다. 림프계는 감염과 싸우는 백혈구 세포를 포함하여 몸 전체에 거미줄처럼 퍼져 순환하는 면역조직으로 우리 몸의 필터와 배수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림프관은 림프의 통로가 되며, 몸의 특정 부위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이 다른 부위로 옮겨가는 전이의 통로 역할도 하게 됩니다.

림프관의 도중에는 림프 조직으로 이루어진 림프절이 있으며 림프절에서 림프구가 형성됩니다. 림프구에는 T-세포, B-세포, 자연살해세포 등이 있습니다.

[ 백혈병의 발생부위 ]

골수및혈액의구조

[ 백혈병의 개념과 발생부위 영상 ]

백혈병의 개념과 발생부위 뼈 속의 골수에 존재하는 조혈모세포는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와 피를 멎게 하는 혈소판 그리고 외부의 병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방어하는 다양한 종류의 백혈구를 생산합니다. 백혈병이란 골수의 조혈세포에 암이 발생한 것으로 악화 속도에 따라 급성과 만성 백혈병으로 구분되고 세포의 기원에 따라 골수계 세포에서 암이 발생한 골수성 백혈병과 림프계 세포에서 암이 발생한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구분됩니다. 백혈병이 발생하면 골수가 백혈병 세포로 채워지면서 정상적인 조혈기능이 저하되는데 적혈구가 부족해지면서 빈혈증상이 나타나고 혈소판이 부족해지면서 피가 잘 멎지 않으며 백혈구가 부족해지면서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골수에서 흘러나온 백혈병 세포는 전신의 혈액과 림프선, 간, 비장 등을 침범합니다.
B-세포

항체를 형성하며, 항체는 항원에 결합하여 면역 반응에 관여합니다.

T-세포

T-세포는 조절기능과 직접적인 세포독성 기능이 있습니다. 조절기능의 T-세포는 협력 T-세포로 B-세포, 자연살해세포 등을 자극합니다. 또한 이들 자극을 억제하는 억제 T-세포가 있다고 추정됩니다. 세포 독성 기능은 세포독성 T-세포가 관여하며 세균이 감염된 세포, 암세포, 이식편 조직 및 세포들을 공격합니다.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

특정 항원을 인식하지 않으면서도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세균, 암세포를 공격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