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급성 림프구성백혈병

정의

백혈병은 혈액 또는 골수 속에 종양세포(백혈병 세포)가 생기는 질병입니다.
백혈병은 경과에 따라 급성백혈병만성백혈병으로 구분합니다. 또한 급성 백혈병은 백혈병 세포의 종류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급성비림프구성백혈병)과 급성림프구성백혈병으로 나뉩니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은 림프구계 백혈구가 악성 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고 말초 혈액으로 퍼지는데 간, 비장, 림프계, 대뇌, 소뇌, 척수 등을 침범하는 질병입니다. 대개 골수나 말초혈액에 림프아세포가 20% 이상 차지하는 경우를 림프구성백혈병으로 정의 합니다.

종류

과거 FAB(French - America - British, 1985)분류를 많이 사용했으나 1999년에 국제보건기구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림프구에서 유래한 종양에 대해 형태학적, 임상적, 면역학적, 유전학적 정보를 종합해서 새로운 분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분류, 1999 ]

[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분류, 1999 ]
B세포 전구 B세포종양
전구 B세포 림프아구성 백혈병/림프종 (전구 B세포 급성 림프아세포성 백혈병)
T세포 전구 T세포종양
전구 T림프아세포성 림파종/백혈병 (전구 T세포 급성 림프아세포성 백혈병)

종전에 사용하던 FAB분류는 다음표와 같습니다.

[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FAB(French - America - British, 1985)분류 ]

[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FAB(French - America - British, 1985)분류 ]
L1 작은 림프모구, 적은양의 세포질, 일정한 모양, 핵인은 뚜렷하지 않음
L2 큰 림프모구, 세포질이 세포면적의 20%이상, 다양한 크기와 모양, 25%이상에서 핵인 관찰
L3 큰 림프모구, 세포질은 중등도로 풍부, 호염기성, 공포 함유, 버킷 림프종세포와 유사한 모양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