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항암제는 부작용뿐만 아니라 주요한 장기에 독성과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작용과 독작용은 환자의 약물에 대한 반응에 따라 다양합니다.
씨타라빈의 부작용
- 혈액수치감소(빈혈, 출혈, 호중구감소), 점막염, 오심, 구토, 간독성, 탈모, 중추신경계 이상
- 씨타라빈 증후군: 발열, 근육통, 골통, 흉통 등- 씨타라빈 투여 6~12시간 후 발현, 스테로이드 투여로 예방, 치료 가능
ATRA(아트라, 베사노이드)의 부작용
- 백혈구 증가, 오심, 구토, 두통, 현기증, 우울증, 일시적인 간기능의 악화(베사노이드 증후군) : 열, 호흡곤란, 폐렴 증상, 심부전, 혈압하강(약 투여 2일부터 21일까지 생길 수 있음), 스테로이드로 초기 대응
안트라싸이클린(이다루비신,도노루비신)계열 항암제의 부작용
- 오심, 구토, 점막염, 탈모, 심장기능 저하, 골수기능 억제 등
비소의 부작용
- 백혈구 증다증, 고혈당, 말초신경병증
- 급성전골수성백혈병 분화증후군: 발열, 피부반점, 말초부종 및 폐 음영의 변화, 부종이 나타나는 것-스테로이드로 호전됨
방사선치료의 부작용
골수이식과 관련된 부작용
골수이식을 위한 전신방사선조사 후 첫 며칠부터 수개월 내에 올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장염, 점막염, 탈모, 구강건조증, 피곤증 등이 있으며 몇 달 혹은 수 년 후에 올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간질성 폐렴, 갑상선 기능저하 백내장, 불임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조사로 인한 부작용들은 방사선 분할조사, 적절한 차폐기술의 도입으로 많이 감소되고 있습니다.
척수강내 화학요법의 부작용
어지러움, 구토, 두통, 경기 등이 있으며 반복적인 척수천자로 인한 지망막염, 요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조혈모세포이식의 부작용
이식관련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식 이후 약 30~40일까지의 부작용(전처치와 관련된 부작용이 대부분) : 호중구감소, 혈소판 감소, 점막염, 간정맥 폐쇄증후군, 박테리아/진균 패혈증, 바이러스 감염
- 이식 이후 30일부터 100일까지 생기는 부작용(공여자세포가 자리를 잡은 후부터 100여 일 동안) : 급성이식편대 숙주병, 곰팡이류 감염, 거대세포바이러스(CMV) 폐렴/간염/장염,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생착 거부
- 이식 이후 100일부터 3년까지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만성이식편대 숙주병, 대상포진, 박테리아 패혈증, 재발/생착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