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구인두-편도암(HPV 관련)

치료의 부작용

해부학적 위치상 치료 시 발성, 조음 및 삼킴 기능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발병변의 위치, 병기, 범위, 그리고 시행한 치료의 종류에 따라 이러한 장애의 정도 및 중증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구인두 부위는 감각신경이 촘촘히 분포되어 있는 곳이기 때문에 다양한 이상감각 및 통증도 치료 전, 후 문제가 될 수 있고, 적극적인 통증관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구강 및 구인두 내에 특징적으로 점막(mucositis)을 일으킵니다. 점막염은 보통 점액의 양과 성질을 변화시켜 장기적으로 건조감을 일으킵니다. 보통은 국소치료로 잘 조절되나, 때로는 이러한 점막염이 심해져 섬유화를 일으키면 연하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것이 환자의 체중감소를 일으켜 결과적으로 수술 전후의 상처회복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미각변화도 올 수 있습니다. 방사선치료 후에 종양부위와 목에 섬유화가 일어나면 환자에게 불편함을 줄 뿐 아니라 목의 경직을 일으켜서 오랫동안 내부에 있는 종양을 놓칠 수 있습니다. 목의 경직이 오면 목의 운동장애를 일으키므로 집중적인 물리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점막염(mucositis)]

그리고 점막염에 의한 삼킴장애로 정상적인 식사가 어려운 경우는 영양공급을 위한 위루술(튜브를 위에 직접 삽입하여 이를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는 상태)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위루술]

또한 항암제-방사선 병합요법은 방사선치료를 단독으로 시행하는 경우에 비해 진행에서 치료율을 높일 수 있지만, 치료에 따른 부작용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어서 심한 경우 기도를 폐쇄할 정도의 부종을 초래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기도확보를 위한 기관절개술(기도에 구멍을 내고 튜브를 통해 호흡하는 상태)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관절개술]

최종수정일 : 2019년 08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