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구인두-편도암(HPV 관련)

진행단계

다른 부위의 암과 마찬가지로 원발부위(T), 목의 림프절전이(N), 원격전이(M) 병기가 환자의 예후와 가장 연관성이 높습니다. 이 TNM 병기에 따라 최종적인 임상병기가 초기인 1기부터 진행병기인 4기까지 나뉘게 됩니다.

인두암은 최근 발표된 병기 분류체계에 따르면,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의 감염여부로 분류를 하고 있으며, 이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리 표지자인 p16단백질 염색으로 HPV 감염여부를 결정합니다. 이에 따라 병기를 나누는 기준이 달라지게 되는데 본 안내문의 주제인 p16+ 구인두, 편도암의 병기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HPV관련 구인두-편도암의 병기 [AJCC 8th] ]

[ 구인두암의 병기 ]
TNM 분류  정 의
원발암의 침윤 깊이(T) T1

종양의 크기가 2cm이하인 경우

T2

종양의 크기가 2cm보다 크고, 4cm이하인 경우

T3

종양의 크기가 4cm보다 큰 경우

T4

종양이 편도 외의 후두, 혀의 심부근육, 경구개, 하악골 등의 주변 구조를 침범한 경우

임상적 림프절전이(cN병기) N0

경부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cN1

병변측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이상 있고, 크기가 6cm이하인 경우

cN2

병변 반대측 또는 양측에 전이가 1개 이상 있고 크기가 6cm 이하인 경우

cN3

6cm 보다 큰 전이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병리적 림프절전이(pN병기) NX

경부림프절 전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pN0

경부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pN1

4개 이하의 경부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pN2

4개보다 많은 개수의 경부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원발전이(M) M0

원발전이가 없는 경우

M1

원발전이가 있는 경우

최종수정일 : 2019년 08월 05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