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구인두-편도암(HPV 관련)

진단방법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포함한 병력을 청취합니다. 구인두는 림프관이 발달한 부위이므로 목 쪽의 림프절전이가 있는지 촉진하여 살펴봅니다.

이비인후과적 검진은 조명을 통해 구강, 구인두 부위를 자세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특수하게 고안된 내시경을 이용하여 의심되는 부위를 자세히 확대하여 관찰합니다. 내시경에는 여러 각도의 경성내시경과 굴곡형 내시경이 있습니다.

후두의 검사

[ 후두의 검사 ]

경성내시경(가)이나, 굴곡형 내시경(나)을 이용하여 외래에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목 부위를 촉진(만져서 진단하는 방법)하여 목림프절 전이 여부와 정도를 판단합니다. 입을 벌리기 어렵거나 혀운동이 비대칭적이거나 장애가 있는 소견은 구인두암진행한 상태임을 시사하는 소견이므로 이러한 증상의 여부를 주의해서 관찰합니다.

조직 검사

구인두에 혹이 있다고 해서 모두 악성종양(암)은 아닙니다. 반드시 조직의 일부를 떼어내어 현미경으로 확인을 해야 합니다. 대부분 외래에서 국소마취 하에 조직검사가 가능합니다. 조직검사를 통해 악성종양 여부를 확진하게 됩니다.

경부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병변의 범위를 좀 더 자세히 관찰하고, 특히 경부 전이의 유무를 자세히 살피기 위해 시행하며, 부위에 따라 전산화단층촬영(CT) 또는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하게 됩니다.

원격 전이 검사

전신전이가 함께 있는 경우는 인두암의 병기와 치료방침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전신전이가 주로 많이 일어나는 폐, 간, 뼈 등에 대한 검사가 주가 되며, 최근에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CT)이라는 방법으로 한 번에 정확하게 검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방침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로는, 원발부와 경부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전산화단층촬영(CT)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CT)이 있습니다. PET-CT는 최근에 등장한 검사방법으로 원격전이 여부를 포함한 인두암의 범위를 한 번의 검사로 정교하고 간편하게 발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치료 전 필요한 검사들 ]

치료방침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로는, 원발부와 경부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전산화단층촬영(CT)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CT)이 있습니다. PET-CT는 최근에 등장한 검사방법으로 원격전이 여부를 포함한 인두암의 범위를 한 번의 검사로 정교하고 간편하게 발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종수정일 : 2019년 08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