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두에 포함되는 구조물은 연구개, 구개편도, 구개수, 설편도, 설기저부(혀뿌리), 인두후벽 등이 있으며, 이 부위에 발생한 암을 모두 구인두암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구인두암 중 편도암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하고 있습니다.
편도암은 넓은 의미로는 비인두, 구인두 부위의 편도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 전부를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보통 ‘편도선’이라고 불리는 구개편도 부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의미합니다. 비인두암, 구인두암은 각각 비인두, 구인두 부위에 발생한 악성종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인두암, 구인두암, 편도암은 경우에 따라 같은 종양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여서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편도암’을 구인두에 있는 부위인 구개편도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국한하여 정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정상편도와 편도암의 비교 ]
[ 인두의 각 부위에서 발생하는 종양 ]
구인두 암은 대부분 편평상피세포암이며 부위에 따라 소타액선암이나 림프종, 선암종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편평상피세포암종은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라 고분화암, 중등도분화암, 저분화암으로 분류됩니다. 저분화암일수록 종양의 성장속도가 빠르고 주변조직으로의 침습, 전이 등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병리조직학적 분류뿐 아니라,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 여부에 따른 분류를 하고 있는데,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에 대한 대리표시자로써 사용하는 p16 단백질 표지자의 염색 유무에 따라 p16+ 구인두암, p16- 구인두암으로 분류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