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횡문근육종

진행단계

횡문근육종의 진행단계는 종양의 위치 및 크기, 전이 여부 등으로 평가하는 수술전 병기(TNM 병기)와 수술 후 종양의 완전 절제 여부에 따른 병기인 ‘임상 그룹(clinical group)’을 사용하여 평가합니다.

[ 횡문근육종의 수술 전 TNM 병기 ]

[ 횡문근육종의 수술 전 TNM 병기 ]
병기 발생위치 T병기 침범 정도 T병기 크기 N병기 M
1기 양호한 부위
- 안와, 두경부(뇌막인접부 제외)
- 비뇨기계(방광이나 전립선 아닌)
T1 또는 T2 a 또는 b N0 또는 N1 또는
N병기 모름
M0
2기 불량한 부위
- 방광/전립선, 사지
- 두경부의 뇌막인접부
- 그 외: 복강, 후복막강 등
T1 또는 T2 a N0 또는 N병기 모름 M0
3기 불량한 부위
- 두경부의 뇌막인접부
- 그 외: 복강, 후복막강 등
T1 또는 T2 a
b
N1
N0 또는 N1 또는
N병기 모름
M0
4기 어느 부위이든 T1 또는 T2 a 또는 b N0 또는 N1 M1
T 병기: T1 종양이 한 장기나 부위에만 국한됨 / T2 인접한 장기나 부위까지 종양이 국소 침범
           a 종양의 직경이 5cm 이상 / b 종양의 직경이 5cm 미만
N병기: N0 림프절 침범 없음 / N1 림프절 침범 있음 / NX 림프절 침범 여부 평가 불가
M병기: M0 원격 전이 없음 / M1 원격 전이 있음

[ 횡문근육종의 수술 후 임상적 그룹 ]

[ 횡문근육종의 수술 후 임상적 그룹 ]
그룹 내 용
1 종양이 국소적이고 외과적으로 완전 절제가 이루어진 경우
국소 림프절 침윤이 없음
- 종양이 원발 장기나 근육에 국한
- 원발 장기나 근육의 인접까지 침범
2 국소 침범된 경우
- 대체적으로 적출되었으나 현미경적 병소가 남음
- 국소 침범이 있으나 종양이 완전히 절제 (국소 림프절 침윤은 있으나 완전 절제되어 현미경적으로도 남은 병소가 없음)
- 국소 침범 및 국소 림프절 침윤이 있으며 육안적으로 모두 적출되었으나 현미경적 병소가 남음
3 수술 부위에 잔존 종양이 아직 남아 있거나 초기에 조직 검사만 시행하고 종양의 적출은 하지 못함
4 진단시 원격 전이가 동반

이러한 수술 전 병기나 수술 후 임상 그룹은 모두 횡문근육종의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치료 강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종수정일 : 2021년 01월 05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