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구순암

발생부위

입술은 외부에서 구강으로 통하는 입구입니다. 입술은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 둘레근)이라 불리는 근육이 내부에 있고 안쪽 면은 점막, 바깥쪽 면은 피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륜근은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환형의 근육입니다. 구륜근은 미묘한 발음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입술 가장자리의 미세한 움직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입술을 수축하고 긴장시키는 작용 외에도 얼굴 중앙부위의 근육이 부착할 수 있는 부착 점을 제공합니다.

점막부위는 협점막(buccal mucosa)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입술의 부위

입술의 붉은 부위를 주홍 혹은 홍순(vermilion)이라 하고 이 부위와 피부가 접하는 부위를 주홍경계(vermilion border)라고 합니다. 주홍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풍부한 혈관 분포가 얇은 상피 조직을 통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윗입술(upper lip)의 중앙에 밑으로 굽은 부위를 큐피드의 활(cupid’s bow)이라고 하며 여기에서 비교(nasal bridge)까지 움푹 들어간 부분을 인중(philtrum)이라고 합니다. 인중의 직하부 주홍의 중앙에 입술이 도톰해진 부위를 구순 결절(labial tubercle)이라 합니다. 입술과 뺨을 경계 지우는 입술의 끝에서 코의 측면 끝에 이르는 움푹 파인 부위를 비순구(nasolabial groove)라고 하고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만나는 곳을 구순 접합선 또는 구순 교련 혹은 구순 교차(labial commissure)라고 합니다.

입술로의 혈관 공급은 안면동맥의 순측 가지가 주 공급원입니다. 아랫입술의 운동신경은 안면신경의 하악가지의 지배를 받고 감각신경은 하치조신경의 턱끝 신경(mental nerve)의 지배를 받습니다. 구순 교련의 운동신경은 안면신경의 협측가지이며 윗입술의 감각은 상악신경의 하안와 신경(infraorbital nerve)입니다.

입술의 모양을 유지하는 환형의 근육인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 둘레 근)은 외근(extrinsic fiber)과 내근(intrinsic fiber)으로 구성됩니다. 외근은 다른 안면근으로부터 기시 되는데 협근(buccinators muscle, 볼 근), 구각거상근(levator muscle of the angle of the mouth, 입 꼬리 올림 근), 구각하체근(depressor muscle of the angle of the mouth, 입 꼬리 내림 근), 상구순거상근(levator muscle of the upper lip, 윗입술 올림 근), 대협골근(greater zygomatic muscle), 하구순하체근(depressor muscle of the lower lip, 아랫입술 내림근) 등이 있습니다. 내근은 협근, 구각거상근과 구각하체근 그리고 그 외 근섬유들로부터 기시됩니다. 협근(buccinators muscle, 볼 근)은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 둘레 근)의 심부를 형성하는데 하악골로부터 기시한 근섬유는 윗입술로 주행하고 상악골로부터 기시한 근섬유는 아랫입술로 주행합니다. 중간부위의 근섬유는 구각(입꼬리)에서 교차하고 가장 상단과 하단의 근섬유는 교차 없이 중앙선을 지나 각각 윗입술, 아랫입술로 주행합니다.
구각거상근과 하체근(levator and depressor muscle of the angle of the mouth)은 협근(buccinators muscle, 볼 근)보다 표층에 위치하며 구륜근(orbicularis oris muscle, 입 둘레 근) 외근의 또 다른 층을 형성합니다. 거상근으로부터 기시한 근섬유는 아랫입술로, 하체근으로부터 기시한 근섬유는 윗입술로 주행하며 이 근 섬유들은 입술을 따라 주행하여 중앙선 근처의 피부에 부착됩니다.

[ 입술의 표면 해부 ]

[ 입술 주변의 근육 ]

최종수정일 : 2019년 06월 04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