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을 방문하면 후두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기본적인 병력청취를 합니다. 병력청취를 통하여 위험인자 여부와 증상에 대한 지식을 얻습니다.
그리고 내시경을 이용하여 후두를 관찰합니다. 내시경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막대기처럼 생긴 경성 내시경을 이용하거나, 굴곡형 내시경을 이용하여 후두를 밝게 확대하여 관찰합니다. 내시경의 발달로 인하여 병변 여부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고, 병변의 양상을 더욱 자세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추세입니다.
후두의 혹이 암으로 의심되는 경우는 조직검사를 해서 악성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외래에서 조직의 일부를 떼내어 조직검사를 하기도 하나, 정확한 병변의 상태를 파악하여 치료 방침을 정하기 위해서는 전신마취를 한 상태에서 후두부위에 대한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와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후두의 검사 ]
경성내시경(가)이나, 굴곡형 내시경(나)을 이용하여 외래에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
[ 전신 마취하의 후두검사 ]
현수후두경이라는 기구를 입을 통해 삽입한 후 이를 통해 후두와 주변조직의 병변을 수술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진단에 필요한 조직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종양이 후두 내에 퍼져 있는 정도를 알거나, 목의 림프절로 전이된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이후 치료계획 설정에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알기 위하여 목에 대하여 경부 전산화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MRI) 등을 시행합니다.
후두암이 진행되면 목 부분이 아닌 신체 내의 다른 부위로 혈관을 타고 번지게 되는데 이를 원격 전이라고 합니다. 가장 많이 전이되는 장기는 폐, 뼈, 그리고 간 등입니다. 또한 식도에 종양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검사를 위하여 골스캔, 복부초음파검사(혹은 복부단층촬영), 식도조영검사(혹은 위식도내시경), 그리고 폐 사진 등 몇 가지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CT)이라는 최신 검사법으로 원격 전이 여부를 포함한 후두암의 범위를 보다 정교하게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진료시 이 검사법을 활발히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검사법의 장점은 기존의 전이검사에 비해 예민해서 잠복병변을 더 효과적으로 발견할 수 있고, 여러 종류의 검사를 시행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한번의 검사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등입니다.
[ 전이가 많이 되는 장기 ]
후두암 등 두경부암이 원격전이를 하는 장기는 주로 폐, 뼈, 간입니다. 수술전 전이에 대한 검사도 위 장기들에 대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
[ 치료전 필요한 검사들 ]
치료방침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로는, 원발부와 경부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전산화단층촬영(CT)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CT)이 있습니다. PET-CT는 최근에 등장한 검사방법으로 원격전이여부를 포함한 후두암의 범위를 한번의 검사로 정교하고 간편하게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