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뇌하수체선종

개요

뇌하수체선종의 치료는 크게 수술요법, 약물요법 및 방사선 치료 등이 있으며, 환자의 연령 및 일반 상태, 종양의 크기와 위치, 혈중 호르몬 수치 등의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세웁니다.

치료의 목표는 종양을 제거하여 주위 조직에 영향을 주는 종양 효과를 없애고, 정상 호르몬 분비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 있습니다. 또한 치료 요법의 발달로 치료성적이 괄목할 만큼 향상되어 특히 대부분의 선종이 현미경을 이용한 경접형동 접근법으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신경내시경을 이용하여 최소 침습적 경접형동 접근법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며, 감마나이프 등의 방사선수술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수술적 치료

뇌하수체선종에 대한 수술적 치료법은 경접형동 접근법과 경두개 접근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종양의 크기와 모양, 안장의 외부확장의 정도, 조직학적 분류, 환자의 나이, 건강상태, 안장과 접형동의 모양 및 감염 여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경접형동 접근법

코를 통해 코의 중격을 절개하여 뇌하수체의 종양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뇌조직을 통하지 않고 뇌하수체에 직접 도달할 수 있고, 접근이 용이하고 안전합니다. 특히 종양이 접형동 내로 퍼져있거나 미세 선종, 그리고 뇌척수액이 새어 나오는 비루가 동반된다면 경접형동 접근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경접형동 접근법에 의한 뇌하수체 종양 제거술]

경두개 접근법

머릿속 피부를 절개하여 뼈에 창을 내고, 뇌를 싸고 있는 경막을 절개하여 뇌를 특수한 주걱으로 들어올려 뇌하수체부분에 도달합니다. 이 수술은 안장와가 정상이며 종양이 주로 안장 상방에 있는 경우 및 안장 주위 확장이 심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약물 치료

일부의 기능성 뇌하수체선종에 약물 요법을 일차적으로, 혹은 수술 전후에 보조적으로 사용합니다.

유즙분비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에서는 종양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차적으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표준요법입니다. 치료약은 브로모크립틴을 사용합니다. 브로모크립틴을 경구 투여하면 혈청의 유즙분비호르몬 수치가 떨어지며, 종양의 크기가 감소합니다. 환자의 일부는 투약을 중지하면 선종이 다시 커지고, 혈청의 유즙분비 호르몬의 수치가 증가합니다. 6개월 이상 장기 복용한 환자 중에 선종이 단단해지고 주위 조직과의 유착으로 경계가 불분명해져 외과적 적출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브로모크립틴은 특징적으로 위장장애를 일으키는데 이러한 부작용이 심하여 투약하기 어렵다면 카베골린(cabergoline)을 쓰기도 합니다. 아직까지는 일반 약국에서 판매하지 않고 희귀약품센터에서 구매할 수 있는데, 부작용도 적고 투약 횟수도 줄일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성장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에 사용하는 약제는 성장호르몬의 분비 억제 작용을 하는 소마토스타틴이 있습니다. 소마토스타틴을 사용하면 환자의 60 %에서 종양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50 %에서 혈중 성장 호르몬과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는 소마토메딘의 수치가 정상화된다고 합니다.

방사선 치료

뇌하수체선종을 수술로 완전 적출을 하지 못한 경우나 재발한 경우 약물 요법과 병행하여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치료는 유효한 치료수단이 될 수도 있으나 방사선으로 인해 뇌하수체 기능이 저하되거나, 시신경과 시상하부 등에 부작용이 있어 최근에는 감마나이프, 선형가속기 등의 방사선수술이 치료법으로 먼저 고려됩니다.

최종수정일 : 2020년 10월 14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