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뇌하수체선종

기능성 뇌하수체선종

유즙분비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

가장 흔한 분비성 뇌하수체 종양으로 여성은 무월경과 다량의 유즙분비가 주된 증상입니다. 남성은 특징적인 증상 없이 성욕감퇴와 시력장애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성장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말단비대증)

전체 뇌하수체선종의 약 20 %를 차지하며, 중년에 잘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말단비대증,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나며, 긴 뼈의 성장판이 닫히기 전의 어린이는 성장에 따라 체구가 커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쿠싱병, Cushing Disease)

뇌하수체선종의 약 4~5 %를 차지하며, 비만, 고혈압, 당뇨 및 비정상적으로 털이 많은 조모증 등이 나타나고, 피부가 엷어지면서 자색선이 생기는 특징적인 신체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쉽게 감염되고 창상치유가 어려우며 근육의 소모와 이완 및 피로감과 쇠약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선종

비교적 희귀한 선종으로 중등도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나타납니다.

비기능성 뇌하수체선종

전체 뇌하수체선종의 약 30~40 %를 차지합니다. 초기에는 호르몬에 의한 증상이 거의 없으나, 종양이 점차 자라서 거대선종이 되면 시신경을 압박해 시야결손 및 시력저하가 나타납니다. 또한 정상 뇌하수체를 압박했을 때 생기는 뇌하수체의 기능 저하 증상과 해면정맥동을 침범할 때 나타나는 제 3, 4, 5, 6번 뇌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종괴가 좀더 커지면 측뇌실이 통과하는 몬로공을 폐쇄시켜서 수두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요붕증, 성선기능 저하증, 갑상선기능 저하증 등과 같은 시상하부 병변에 의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안격막과 기저 경막을 자극하여 일어나는 두통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양측두성 반맹은 뇌하수체선종의 가장 전형적인 임상증상이며, 이는 종괴가 시교차를 압박하거나 허혈에 의해서 발생하면 시력저하를 동반합니다.

최종수정일 : 2020년 10월 14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