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할 경우 실제로 뇌종양 전체의 5년 생존율은 65%이상이며, 특히 양성 뇌종양인 뇌수막종은 95%, 뇌하수체선종은 97%, 신경초종은 94%입니다.
한편, 악성으로 알려진 신경교종도 전체는 38%, 가장 악성도가 높은 교모세포종은 7%, 그 다음으로 역형성 성상세포종은 24%, 저등급 성상세포종이 61% 정도입니다. 따라서 뇌종양도 적극적인 치료로 치료 가능한 질환입니다.
2024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8년~2022년간의 뇌 및 중추신경계암(C70~C72)의 5년 상대생존율은 40.2%(남자가 38.5%, 여자가 42.1%)였습니다. 뇌 및 중추신경계암의 5년 상대생존율1) 은 다음과 같습니다.
[ 뇌 및 중추신경계암의 5년 상대생존율 추이 ]
뇌종양 |
1993-1995년 |
1996-2000년 |
2001-2005년 |
2006-2010년 |
2011-2015년 |
2016-2020년 |
2018-2022년 |
---|---|---|---|---|---|---|---|
남녀 전체 |
40.5% |
40.1% |
41.2% |
43.0% |
42.1% |
40.7% |
40.2% |
남 |
39.0% |
38.8% |
40.6% |
41.5% |
40.7% |
38.7% |
38.5% |
여 |
42.4% |
41.6% |
42.0% |
44.7% |
43.8% |
43.0% |
42.1% |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4년 12월 발표 자료>
한편, 미국국립암연구소에서는 SEER(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프로그램을 통해 "요약병기(Summary Stage)"라는 병기 분류를 개발했습니다. 요약병기는 암이 그 원발 부위로부터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범주화2) 한 기본적인 분류 방법으로 그 병기 분류에 따른 5년 상대생존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뇌 및 중추신경계암의 요약병기별 5년(2018-2022년) 상대생존율 추이 ]
뇌종양 |
국한(Localized) |
국소(Regional) |
원격(Distant) |
모름(Unknown) |
---|---|---|---|---|
남녀 전체 |
37.9% |
27.2% |
22.2% |
47.2% |
남 |
37.8% |
26.7% |
21.7% |
43.1% |
여 |
38.1% |
27.7% |
22.5% |
51.7% |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4년 12월 발표 자료>
--------------------------------------------------------------------------------------------------
15년 상대생존율: 해당 기간 중 발생한 암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을 추정한 것으로, 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했을 경우의 효과를 보정하기 위하여 관찰생존율을 일반 인구의 기대생존율로 나누어 구한 값.
2요약병기에 따르면 암의 범주를 국한(Localized), 국소(Regional), 원격(Distant), 모름(Unknown)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국한(Localized): 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음/ *국소(Regional): 암이 발생한 장기 외 주위 장기, 인접 조직, 또는 림프절을 침범/ *원격(Distant): 암이 발생한 장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 전이/ *모름(Unknown): 병기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