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의 자극 및 압박 등의 증상으로 인해 통증이 있을 때에는 필요시 진통제를 복용토록 하며, 감각 상실로 인해 통증을 느끼지 못할 경우에는 종아리의 혈전성 정맥염이나 폐색전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해야 합니다. 또한 마비로 인해 부동, 색전, 욕창, 장 및 방광 기능 저하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결관장을 실시하여 장관리 계획을 세우거나 배변완화제나 서양자두주스, 고잔여식이를 주고 배변계획을 세우도록 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좌약을 넣는 방법도 교육합니다. 그리고 관절범위 운동을 실시하고, 자주 체위를 변경하여 대상자의 기동성 및 기능을 유지하도록 해야 하며, 피부를 관리하여 욕창을 예방하도록 합니다.
신체의 마비증상으로 인해 스스로의 활동제한이 오며, 심한 좌절감을 느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합니다. 대상자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지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제공하도록 합니다. 또한 대상자가 폭발적으로 화를 내는 등의 행동은 일종의 대응으로서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는 것임을 가족에게 이해시키도록 합니다.
하지마비로 인한 성기능 장애는 대상자가 말로는 표현하지 않더라도 주요 관심사가 되며, 성장애에 대한 문제는 손상의 해부학적 부위와 대상자의 성격, 이전의 성적 경험과 상담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성적인 문제를 조용히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고, 대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암의 치료를 앞둔 환자에게 필요한 사전 준비방법에서부터 신체와 마음을 다지고 관리하는 방법, 암질환 자체와 치료과정으로 빈번히 발생하는 여러 증상들에 대한 생활 속 대처방법,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바른 접근방법까지 암환자로 살아가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