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20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47,952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뼈 및 관절연골 종양(C40~C41)은 남녀를 합쳐서 490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2%를 차지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조(粗)발생률(해당 관찰 기간 중 대상 인구 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환자 수. 조사망률도 산출 기준이 동일)은 1.0건입니다.
남녀의 성비는 1.1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발생 건수는 남자가 255건, 여자가 235건이었습니다. 남녀를 합쳐서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16.7%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14.9%, 60대가 14.7%의 순이었습니다.
조직학적으로는 2020년의 뼈 및 관절연골 종양(C40~C41)의 전체 발생 건수 490건 가운데 육종(sarcoma)이 74.5%를 차지했습니다. 나머지 25.5%는 기타 명시된 암과 상세불명의 암들이었습니다. 육종 중에서는 골육종과 연골육종이 각 29.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유잉 육종이 5.9%를 차지했습니다.
[ 2020년 뼈 및 관절연골(C40~C41)의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발생 빈도 ]
조직학적 형태 Histological group |
발생건수 cases |
% |
1. 육종 (Sarcoma) |
365 |
74.5 |
1.1 골 육종 (Osteosarcoma) |
143 |
29.2 |
1.2 연골 육종 (Chondrosarcoma) |
143 |
29.2 |
1.3 유잉 육종 (Ewing sarcoma) |
29 |
5.9 |
1.4 기타 명시된 육종 (Other specified sarcomas) |
38 |
7.8 |
1.5 상세불명 육종 (Unspecified sarcoma) |
12 |
2.4 |
2. 기타 명시된 암 (Other specified malignant neoplasm) |
78 |
15.9 |
3. 상세불명 암 (Unspecified malignant neoplasm)* |
47 |
9.6 |
총 계 |
490 |
100.0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