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 과정에서 정상 세포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여러 가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백혈구의 감소로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나 세균에 대항할 능력이 떨어져 쉽게 감염됩니다. 38℃ 이상의 열이 수 시간 이상 지속되면 신속히 병원진료를 받으십시오. 한편, 적혈구의 감소는 빈혈과 조직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여 피로감, 현기증, 안면창백 등의 증상들을 유발합니다. 또한 우리 몸에서 지혈 작용을 하는 혈소판이 감소하면 작은 상처에도 쉽게 피가 나고 가벼운 충격에도 멍이 듭니다. 양치 도중에 잇몸에서 피가 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혈뇨가 나타나고 배변 후에 항문에서 피가 나기도 합니다.
항암제로 인해 입 안의 점막이 헐고, 오심, 구토, 설사와 변비, 탈모 등의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탈모나 오심, 구토는 항암화학요법이 끝나면 회복됩니다. 이외에도 피부색의 변화, 부종, 피로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암의 치료성적이 크게 개선되어 장기 생존하는 소아청소년암 환자가 늘어났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수술 등에 따른 후기 합병증도 늘고 있습니다. 후기 합병증으로 각종 장기의 합병증은 아래의 표와 같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복합 치료에 의한 만기 장기 합병증 ]
침범 장기에 따른 합병증 양상 | ||
---|---|---|
근골격 기관 | 골격 및 연체조직 |
성장 장애, 불균형 성장, 척추측만증 |
치아 및 타액선 |
치아발달 장애, 구강건조 |
|
심폐 기관 | 심장 |
심근병증, 울혈성 심부전증 |
폐 |
폐기능 장애, 종격동근위섬유조직증식증, 방사선 폐렴 |
|
비뇨생식기 기관 | 신장 |
세뇨관기능 장애, 사구체기능 장애, 신부전증 |
방광 |
출혈성 방광염, 방광섬유증 |
|
내분비 기관 | 뇌하수체 |
성장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분비이상, 성장장애, 사춘기 조발현상 |
생식선 |
초경 지연, 무정액증, 불임증 |
|
갑상선 |
갑상선기능 저하증, 갑상선 결절, 갑상선암 |
|
신경 기관 | 중추신경계 |
신경인지력 결핍, 백뇌질증, IQ 저하, 경련, 마비 또는 운동 장애, 방사선괴사, 뇌혈관사고, 미세혈관병증 |
말초신경계 |
편측 마비, 청각 장애, 백내장 |
그 외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이 이차암의 발생입니다. 이차암이란 항암제나 방사선 같은 치료수단이 암을 유발하는 현상입니다. 국제 소아암연구회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치료를 마친 소아청소년암 환자를 20년 동안 관찰하였을 때 3%~12%에서 이차암이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이차암 중 이차성 백혈병은 대부분 비림프성 백혈병이며, 이차 고형종양은 대부분 방사선 치료가 원인으로 골육종 및 연부조직 육종이 가장 흔합니다.
현재까지의 연구로 볼 때 이차암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인자는 여러 가지입니다. 원발 암의 종류가 매우 중요한데, 호지킨림프종이나 유전성 망막모세포종은 이차암 발생 위험이 다른 암에 비해 높습니다. 항암제의 종류도 중요한 인자로 알킬화제제나 에토포시드(etoposide)등 에피포도필로톡신(Epipodophyllotoxin)을 투여한 경우 잘 생깁니다. 그 외에도 방사선 치료의 위치와 강도, 동반된 선천 질환 등에 따라 이차 종양의 발생 위험은 다양하며, 이러한 이차암의 발생은 치료 도중뿐만 아니라 치료가 종결되고 수 년 후에도 발생할 수 있어 항상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